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 18권 3호

학교에서 창업으로의 이행

저자명
유홍준 김월화
분류정보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18-03-01)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5.12.31
등록일
2016.01.12
  청년층 실업 문제의 대안으로 창업이 제시되고 있는 현실에서 전국 자료를 이용하여 청년층의 창업 상황과 관련하여 세부적으로 살펴본 기존 연구는 드물다. 본 연구는 학교에서 창업으로 이행한 대학졸업자를 대상으로 창업이행 정도와 창업준비 및 사업운영 현황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학교에서 창업으로 이행한 청년층은 전체 졸업생의 1.3%에 불과하여 정부 및 각 지자체와 학교 등의 다양한 지원에도 불구하고 창업의 일자리 창출 효과는 정책적 기대에 비해 미약한 것으로 판단된다.
  창업 현황을 보면 교육 서비스업이 가장 많고 여성의 업종 편향이 두드러졌다. 응답자 3명 중 1명 만이 창업 준비과정이 있었고 이들의 창업 준비기간은 평균 5달 정도에 불과하여 청년층의 학교에서 창업으로의 이행이 취업 준비처럼 오랜 시간 동안 계획하여 충분한 준비를 한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
  창업에 있어 정부의 창업지원 프로그램과 연구기관 또는 대학 등의 창업보육과정은 별로 도움이 되지 않았다고 응답하여 정부나 각 학교에서 시행하는 창업지원프로그램의 효용성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해 보인다.
  This research aims to empirically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conditions of the youth start-up in South Korea. The results show that the rate of successful students transition to start-up is only 1.3%; this indicates that various start-up programs which are often provided by the central or local governments and universities are not as effective as they were initially expected. 
  Statistics show that the educational services is the most popular industry of youth start-up, and the start-ups by women were over-represented in some of the industrial sectors. Meanwhile, only one third of the survey respondents were properly prepared for their start-ups, and the average preparation period was only approximately 5 months. This result implies that, in terms of period and planning, the preparation of the youth start-up is not given as much effort as searching for a job. 
  The respondents also answered that neither government's assistant programs nor the courses offered by institutions or universities were helpful for establishing the start-up business, which prompts the necessity to re-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start-up supporting programs.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 18권 3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