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 18권 3호

대학 입학전후 진로성숙 변화의 영향요인 탐색

An Exploratory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Changes in Career Maturity During Transition from High School to College
저자명
임현정 김양분 김난옥
분류정보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18-03-02)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5.12.31
등록일
2016.01.12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에서 대학으로 진학하면서 나타나는 진로성숙의 변화가 어떤 요인으로 설명될 수 있는가를 파악하고자 「한국교육종단연구2005」 자료를 활용하여 대학 입학 전인 고 2때와 대학 입학 초기인 대학교 1학년 두 시점의 진로성숙도 변화와 유의한 관계가 있는 요인을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진로성숙도는 제반 요인의 영향을 통제한 이후 대학에 진학하면서 향상되었다. 진로성숙도의 하위 요인별로 보면, 계획성, 자기이해, 진로행동 영역의 수준은 향상된 반면, 직업태도 영역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진로성숙도는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으며, 고교 및 대학에서의 진로교육 경험, 교사 및 교우관계, 독서, 교내외 활동 참여 등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진로성숙이 개인의 독자적 노력뿐만 아니라 학교와 사회의 지원을 필요로 하며 실제 경험과 관계 속에서 성장·발전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changes in career maturity during one's transition from high school to entering college.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using the KELS 2005 dataset were as follows. First, the career maturity significantly increased as students entered college, when other variables were controlled. Second, as subcategories of the career maturity, planning ability, self-understanding, and career behavior improved by year.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attitude toward a job. Third, career maturity was affected by career education experiences, students' relationships with teachers, reading, and student participation in school activities.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support from the schools and communities as well as individual efforts is essential for improving career maturity.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 18권 3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