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 19권 2호

청년층의 중소기업 취업 의향 결정요인

An Analysis on Determinants of Youths
저자명
장현진
분류정보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19-02-02)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6.08.31
등록일
2016.09.20
  이 연구의 목적은 청년층의 중소기업 취업 의향을 결정하는 요인을 구명하고, 각요인의 영향력을 예측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5-9차 연도 자료가 사용되었으며, 종속변인이 이분형 변인이므로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직장생활 경험이 있을수록, 취업을 통해 기대하는 최소임금이 낮을수록 중소기업 취업 의향을 높인다. 반면에 직업의 사회적 인정을 선호할수록, 육체노동을 기피할수록, 학력의 적합을 선호할수록, 정규직 및 사무직 등 직업의 외형적 가치를 선호할수록 중소기업 취업 의향을 낮춘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향후 청년들의 중소기업 취업 활성화를 위한 제언으로는, 첫째, 중소기업의 상대적으로 낮은 임금수준, 열악한 근무여건, 부족한 경력개발제도 등을 개선 지원해야 한다. 둘째, 작지만 비전 있는 건실한 중소기업에 대한 소개와 홍보가 필요하다. 셋째, 대학에서 학생의 전 생애적인 관점에서 진로개발역량 향상 교육이 필요하다. 넷째, 청년들이 건전한 직업의식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학교 진로지도가 강화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various factors which determine youths' employment intention in SMEs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and predict the impact of each determinant variable. To this end, 5~9th year data of Korea Education & Employment Panel (KEEP) were used, and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 was applied. According to the analysis, as one has more work experience and has lower expectation on minimum wages, the probability of one's employment intention in SMEs increased. In contrast, as one has more preference for socially recognized jobs, more evasion of physical labor, more preference for academic suitability, or more need for full-time and white-color jobs, the probability of youths' desires to be employed by SMEs decreased. At the end of the study, the researchers recommended several suggestions for encouraging youths to work for SMEs.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 19권 2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