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 19권 2호
대학창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요인별 중요도 및 시나리오별 고용효과 전망 분석
An Analysis of Employment Effects by the Policy for the University Entrepreneurship Education Ecosystem
- 저자명
- 박성익 김종한 조장식 류장수
- 분류정보
-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19-02-05)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6.08.31
- 등록일
- 2016.09.20
본 논문은 정부의 ‘대학 창업교육 5개년 계획을 통한 청년창업 활성화 방안’에 제시되어 있는 과제를 대상으로 어떤 전략이나 과제가 더 중요한지에 대한 우선순위를 도출하고, 우선순위별로 제도개선이 이루어질 경우 대학창업은 얼마나 늘어나게 될 것인지를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3대 전략의 중요도 가중치를 보면, ‘대학창업 여건 및 창업 인식 개선’이 0.368로 가장 높고, ‘대학생 창업 도전을 위한 환경 조성’이 0.333, ‘창업 친화적 대학 교육제도 마련’이 0.299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업과 관련한 제도와 환경이 현재대로 지속된다(Business As Usual; BAU)고 하더라도, 지속적으로 학생 창업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셋째, 각 대학이 바라는 대로 제도개선이 이루어질 경우, 2017년에 BAU 대비 학생 창업인원은 1,039명이 늘어나는 것으로 전망된다. 넷째, 시나리오 분석의 결과를 보면, 상위요인 ‘대학생 창업 도전을 위한 환경 조성’과 상위요인 ‘대학창업 여건 및 창업 인식 개선’ 중 하위요인인 ‘대학의 창업역량 강화’에 초점을 맞추어 제도를 대폭 개선하는 경우, 2017년에 학생 신규창업인원은 BAU 대비 415명이 더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This paper derives policy priority included in ‘University Entrepreneurship Education 5 Year Plan' and forecasts the employment effect as per policy priority. Major results of the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e policy weight of 'the improvement of university Start-up conditions and awareness' is the highest, followed by 'the creation of the environment for the challenge of the university students' new establishment' and 'the building-up of the start-up friendly education system'. Second, additionally 1,039 students are forecast to create new establishments in 2017 compared to the case of business as usual if institutional improvement is realized as every university wishes. Third, according to the scenario analysis, incrementally 415 students are expected to create new establishments in 2017 compared to the case of business as usual if policy priority is given to 'the creation of the environment for the challenge of the university students' new establishment' and some tasks of 'the improvement of university Start-up conditions and awareness'.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건
KRIVET |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 19권 2호 | 바로가기 |
-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7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