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 19권 3호

대학생의 영어 사교육 수요 결정 요인에 대한 패널 분석

A Panel Analysis of Determinants of Demand for Private English Tutoring among College Students
저자명
길혜지 남나라
분류정보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19-03-04)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6.12.31
등록일
2017.01.12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KEEP) 중3코호트 자료를 활용하여 4년제 대학 재학생의 3년(2009~2011년)간 영어 사교육 참여를 고등학생 시절 영어 사교육 참여 경험과 연계하여 확인하였다. 그리고 패널 프로빗 모형과 패널 토빗 모형을 사용하여 대학 재학동안 영어 사교육 참여 및 사교육비 지출 규모를 결정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각각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 때 영어 사교육을 받은 대학생은 그렇지 않은 대학생에 비해, 대학 재학 중 영어 사교육 참여율이 높고, 고학년이 되어서도 지속적으로 사교육에 참여하면서 보다 많은 사교육비를 지출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대학생의 영어 사교육 참여와 사교육비 지출에 공통적으로 가장 큰 정적 영향을 유의하게 미치는 요인은 직전연도 받은 사교육이 자신의 영어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고 만족하는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과열된 영어 사교육 수요를 줄이기 위해서는, 대학에서 전공 영어 강좌를 비롯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 시 강사 및 프로그램의 질적 수준 등에 있어 대학생의 체감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undergraduate students' participation in private English tutoring, particularly associated with experience of private tutoring at high school. Using the data of the third-year cohort at middle school from the  Korea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KEEP), we applied the panel probit model and the panel random-effect tobit model in order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participation in private English education during college and the size of cost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private English tutoring at high school tend to resort to private tutoring, spending more time and money than the students who did not. Second, satisfaction is the most influential determinant on both participation and expenditu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university should find what satisfies their students, and upgrade the level of students' satisfaction in terms of the quality of professors and operating programs.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 19권 3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