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능력개발연구 21권 1호
NCS 적용을 통한 軍 전직(Outplacement)환경 개선 탐색
Application of NCS Models to Improve Military Outplacement
- 저자명
- 전용국 진성미
- 분류정보
- 직업능력개발연구(21-01-06)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8.03.30
- 등록일
- 2018.04.17
이 연구의 목적은 군 전직환경 개선을 위하여 NCS 모델을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갈수록 산업계로의 전역군인 전직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개발 및 활용이 확산되고 있는 NCS 특성을 살펴본 결과 군 전직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NCS를 군에서도 적용 가능한지를 탐색하기 위해 군과 산업계 간 유사 직무를 비교분석하였다. 즉, 군과 산업계 NCS의 '인사' 직무를 상호 비교분석한 결과 산업계 NCS를 군에서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전역군인 전직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군 NCS 적용방안은 크게 여섯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NCS 능력단위를 자기개발 등에 활용하는 것이다. 둘째, 군내 NCS 기반 국가기술자격 과정평가형 제도를 정착시키는 것이다. 셋째, 전역군인들의 축적된 NCS 능력에 대해 이력근거를 증빙하는 것이다. 넷째, 국방전직교육원에 NCS 직무능력 강화과정을 개설/운영하는 것이다. 다섯째, 국방 ISC(Industrial Sector Council, 인적자원개발위원회) 기능을 강화하는 것이다. 여섯째, 군 진입단계부터 NCS에 의한 특기 분류 및 직무를 부여하는 것이다. 미래 직업에 NCS 능력을 전이함으로써 전역군인 전직에 도움이 되는 상기 방안들을 실제 적용하기 위한 세부적인 추가 연구가 이어질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ways to apply NCS models to improve military outplacement environment.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NCS models has been found to be helpful for military personnel outplacement. As NCS models have been developed and utilized, we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similar tasks between the military and the business industry.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omparative analysis of personnel affairs between the military and industrial NCS, the applicability of industrial NCS to the military is high. Based on this, this study suggests primarily six ways of applying the models to the military in order to improve military personnel outplacement environment. First, use NCS competency units in the industrial sector to self development. Second, establish a process assessment system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based on NCS. Third, prove the record of accumulated NCS competencies. Fourth, offer related classes for NCS competencies at the Military Outplacement Training Institute (MOTI). Fifth, reinforce the military section of the Industry Skills Council (ISC). Sixth and lastly, classify specialties and deploy jobs based on NCS from the beginning of military service. Additional studies are needed for practical application of these suggestions by transferring NCS competencies to future employment.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건
KRIVET | 직업능력개발연구 21권 1호 | 바로가기 |
-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7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