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능력개발연구 21권 1호
무형식학습 참여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수준의 요인에 대한 실증연구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Factors on the Promotion of Informal Learning in Korean Companies
- 저자명
- 심용보
- 분류정보
- 직업능력개발연구(21-01-07)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8.03.30
- 등록일
- 2018.04.17
본 연구는 최근 기업환경의 변화에 적합한 학습유형으로서 무형식학습에 주목하여 근로자의 무형식학습 참여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수준의 요인들을 탐색하고자 하였고 나아가 이러한 조직수준의 요인이 무형식학습의 참여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조직수준의 변수와 성과간의 인과관계에서 무형식학습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5년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6차 인적자본기업패널조사’의 통계자료에서 281개의 기업을 추출하여 통계적 검증을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우선 한국사회에서 근로자들의 무형식학습 참여율은 매우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회귀분석 결과에 의하면 근로자의 무형식학습 참여율이 높을수록 그 기업에서 근로자들의 직무능력과 근로의욕 그리고 노동생산성이 더욱 향상되며 나아가 이러한 무형식학습의 참여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조직수준에서 경영진의 학습지원과 자율적 작업팀 그리고 능력주의 평가/보상체계의 구축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영진의 학습지원, 자율적 작업팀, 능력주의 평가/보상은 무형식학습 참여활성화를 매개하여 대부분의 조직성과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factors on the promotion of informal learning and the mediating effect of informal learning i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variables and performance in Korean companies. The data in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managers and workers in 281 sample companies, which were extracted from 4,109 Korean enterprises.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es indicated that organizational factors, including the management’s learning support, high involvement in the organization, and competency-based human resource management, had positive effects on the promotion of informal learning. Informal learning had posi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a mediated effect between most organizational factors and performances.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건
KRIVET | 직업능력개발연구 21권 1호 | 바로가기 |
-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7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