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능력개발연구 21권 3호
고등학교 유형별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체계 요인 분석
Analysis of Ecological System Factors Influencing Career Maturity by High School Type
- 저자명
- 한정현 조현희
- 분류정보
- 직업능력개발연구(21-03-01)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8.11.30
- 등록일
- 2018.12.20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KEEP)Ⅱ 데이터를 활용하여 고등학교 유형별 학생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체계 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고등학교 2학년생 10,558명이었고, 상관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고등학생의 유기체, 미시체계, 중간체계 변인이 진로성숙도에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체계 요인 중 유기체 변인에서는 자아정체감, 학습방법, 학습동기(내재적동기, 동일시조절동기)가 미시체계 변인에서는 부모관계, 친구관계, 교사관계, 담임관계, 담임평가, 수업분위기, 진로교육활동만족도, 학교생활만족도가 중간체계 변인에서는 학교시설환경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등학교 유형별로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한 결과, 유기체, 미시체계, 중간체계 변인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유형은 특성화고등학교, 마이스터고등학교로 나타났다. 유기체, 미시체계 변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유형은 일반고등학교, 자율고등학교, 과학고등학교, 외국어고등학교, 예술고등학교로 나타났다. 유기체 변인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유형은 체육고등학교로 나타났다. 이로써 고등학교 유형별 진로교육이 취업과 진학 중점 방향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 결과 및 함의를 확인하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ecological system factors influencing students’ career maturity by high school type using the Korea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KEEP Ⅱ). The objects of the study include 10,558 second-year high school student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organic, microsystem, and mesosystem variables of these high school student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ir career maturity. Second, of the ecological system factors influencing career maturity organic variables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ego identity, learning method (elaboration and organization, rehearsal mental practice), and learning motivation (intrinsic motivation, identified regulation motivation); microsystem variables with parent relationship, friendship, teacher relationship, homeroom teacher relationship, homeroom teacher evaluation, instruction participation, satisfaction of career education activity,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mesosystem variables with school facility environment. Third, the high school type influenced by all of the organic, microsystem, and mesosystem variables included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meister high schools; the type affected by organic and microsystem variables included general high schools, autonomous high schools, science high schools, foreign language high schools, and arts high schools; and the type impacted by only organic variables included physical education high schools. Implications for the study were further discussed.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건
KRIVET | 직업능력개발연구 21권 3호 | 바로가기 |
-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7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