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21권 3호

다층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적용한 고등학생의 진로교육 및 활동경험 만족도에 대한 집단분류와 개인 및 학교요인 검증

Latent Classes of High School Students
저자명
백승희 정혜원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21-03-02)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8.11.30
등록일
2018.12.20
 본 연구는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교육 및 활동경험 만족도에서 이질적인 관계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각 잠재계층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한국교육고용패널Ⅱ(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KEEP)의 1차년도 조사를 사용하였으며, 고등학생 10,345명(남학생 5,444명(52.6%), 여학생 4,901명(47.4%))을 대상으로 하였다.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하여 잠재계층을 분류하였고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영향요인을 확인하였다. 진로교육 및 활동경험 만족도에서의 잠재계층을 확인한 결과 3개의 이질적인 계층으로 구분되었으며, 3개의 잠재계층을 결정하는 예측요인을 알아본 결과 개인수준에서는 성별, 학교생활만족도, 학교시설만족도, 교사만족도, 수업분위기, 진로역량, 학습방법, 학습동기, 방과 후 학교 참여, 사교육 참여가, 학교수준에서는 운영회평가, 진로지도평가, 진로교육방법, 환경평가가 계층을 구분하는 주요한 예측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잠재계층 분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개인수준뿐만 아니라 학교수준에서의 변인들을 활용하여 검증함으로써 국가인적자원개발정책 수립 및 청소년의 교육 경험과 진학·진로 지도 시 도움을 줄 수 있는 실질적인 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패널 자료의 특성상 제한된 문항이 분석에 사용되었다는 한계점이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stimate the latent classes of high school students’ satisfaction with career education and activities and individual and school factors determining these latent profiles. To this end, we used data from the first-wave survey of 10,345 students, including (5,444 male and 4,901 female students), of the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II (KEEP II). Based on the latent profile modeling analysis, we identified three distinct latent classes of students' satisfaction with career education and activities. These classes were named ‘low-level satisfaction group,’ ‘intermediate-level satisfaction group,’ and ‘high-level satisfaction group.’ Second,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gender, school life satisfaction, school facility satisfaction, classroom atmosphere, career competency, learning method, learning motivation, after-school program participation, and private tutoring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latent profiles at the individual-level. Also, perception of school administration committees, career education, school environment and career guidance method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latent profiles at the school-level. Implication of this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21권 3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