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21권 3호

국내외 의사과학자 양성의 현황과 과제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 of Nurturing Physician Scientists in Korea in Comparison to Overseas Cases
저자명
최한올 권채리 황혜진 홍후조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21-03-03)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8.11.30
등록일
2018.12.20
 본 연구는 국가의 미래 경쟁력을 끌어올릴 바이오산업의 핵심이 ‘의사과학자의 체계적인 양성’이라는 문제의식 아래 진행되었다. 따라서 국내 의사과학자 양성 실태를 진단하고, 의사과학자 양성에 선두를 달리고 있는 미국, 영국, 일본, 스위스, 싱가포르의 사례를 통해 국내 의사과학자의 체계적인 양성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국내의 경우 의학전문대학원의 도입으로 의사과학자 양성 과정이 교육과정 내에서 시행되었지만 저조한 지원율 및 의학전문대학원 제도의 쇠퇴로 인하여 그 자체가 유명무실화 되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국외 5개국은 범국가적인 지원, 유연한 학제 운영, 연구트랙과 임상트랙의 상호개방성, 의사 생애주기를 반영한 연구지원 등을 통하여 효과적으로 의사과학자를 양성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국내에서 의사과학자를 체계적으로 양성하기 위해서는 학교, 병원, 국가가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의사 교육 전 단계에서 의사과학자를 양성하기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따라서 학부에서는 유연한 MD-PhD과정을 도입하고, 탐구중심 교육과정을 운영해야 하며, 전공의와 전임의 단계에서는 임상수련과 연구를 함께 할 수 있는 트랙을 열어주어야 한다. 또한 의사과학자 과정에 있는 학생들에게 장학금, 병역 등의 혜택을 주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다. 그리고 임상교수나 전문의 단계에서는 그들이 고유 연구 분야를 정립하도록 도움을 주고, 산업체 및 각 의과대학의 기초과학 교수들과 공조를 할 수 있는 분위기를 형성시켜 주어야 한다. 이처럼 의사과학자는 종합적인 관점에서 장기적으로 다루어질 때 체계적인 양성이 가능할 것이다.
  This study is conducted under the critical awareness that systematic nurturing of physician scientists is the key to the bio-industry to boost the nation’s future competitiveness. As such, we examined the current status and overseas cases of training physician scientists in Korea and five leading foreign countries, including the U.S., U.K., Japan, Switzerland, and Singapore, then suggested a systematic nurturing system for domestic physician scientists. In Korea, the introduction of medical graduate schools led to a physician scientist training system within the curriculum. However, due to the low admission rate and the decline of the medical graduate school system, the physician scientist training system has become ineffective. In contrast, the five foreign countries have been nurturing physician scientists effectively through  comprehensive national support, flexible school system management, and research support reflecting the physician's life cycle. In order to systematically train physician scientists in Korea, support for research is needed at all stages of physician education. A flexible MD-PhD program should be introduced to undergraduate programs and offer a research-oriented curriculum. By operating both research and clinical tracks at the resident and research fellow levels, physicians should be able to take the two tracks simultaneously.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hat students in basic medicine areas should receive scholarship and military service benefits. For students who wish to become clinical professors or pursue medical specialties, MD-PhD programs should help them establish their own research fields and create an atmosphere in which industrial entities and professors of basic science in medical schools can collaborate with each other. It will be possible to systematically nurture domestic physician scientists when they are trained from a long-term and comprehensive perspective.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21권 3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