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21권 3호

중장년 사무직 남성의 진로전환 경험

Middle-Aged Office Men
저자명
김래경 장선철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21-03-04)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8.11.30
등록일
2018.12.20
 본 연구는 중장년 남성 사무직 비자발적 퇴직자들의 진로전환 경험과 그 과정을 탐색하여, 이들의 진로전환 경험을 설명하는 실체 이론을 형성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주된 직장에서 10년 이상 사무직으로 근무하다가 비자발적으로 퇴직한 만 40세∼64세의 중장년 남성 11명을 이론적 표본추출 방법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자료는 심층면담을 통하여 주로 수집하였고,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116개의 개념, 54개의 하위범주, 20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패러다임 모형으로 본 중장년 남성 사무직 비자발적 퇴직자의 진로전환 경험의 중심현상은 ‘퇴직의 무게감에 짓눌림’이었다. 시간의 흐름에 따른 진로전환의 과정은  ‘길 찾기’, ‘움직이기’, ‘수용하기’, ‘지속하기’, ‘멈추어 생각하기’의 5단계로 나타났다. 핵심범주는 ‘과거의 나에 연연하지 않고 일하는 것 자체의 만족을 누림’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가정과 조직, 사회, 국가와 상담 현장에서  중장년 남성들이 겪는 퇴직과 진로전환 경험을 새로운 관점으로 이해하며, 진로전환에 관한 정책과 교육, 상담 개입의 근거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areer transition experience and process of middle-aged male office workers subjected to involuntary retirement, an effort to further develop a substantive theory on the career transition experienc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mainly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the grounded theory was adopted. The selection process followed the theoretical sampling method, and  eleven middle-aged male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those who had held an office work position for more than ten years at their main job, and who were between forty and sixty four years old. This study developed 116 concepts, 54 sub-categories, and 20 categories. The central phenomenon of the career transition of involuntary middle-aged male retirees from office work was 'crushed by the pressure of retirement.' The chronological process of career transition involves five stages: searching directions, moving, accepting, continuing, and stop and thinking. The core category was 'to be satisfied with the work itself without dwelling on the past self'. Therefo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understanding  retirement and career transition experience of middle-aged men from a new perspective in homes, organizations, society, nation, and counseling field, and to be utilized as a foundation for career transition policy, training, and counseling intervention.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21권 3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