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21권 3호

임금분포에 따른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격차에 관한 연구

Wage Gap Between Regular and Non-regular Workers Across the Wage Distribution
저자명
김윤환 김기승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21-03-06)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8.11.30
등록일
2018.12.20
 우리나라는 다양한 형태의 비정규직이 존재하며, 정규직과 비정규직간의 노동시장 분단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전체고용에서 차지하는 비정규직의 비중이 높고, 정규직과 비정규직간의 임금격차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무조건부 분위회귀모형을 이용하여 임금분포에 따라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임금격차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상이한 임금분포에 따라 분위별로 임금격차를 생산성의 차이에 의해 설명되는 부분과 설명되지 않는 부분으로 분해하여 차별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정규직에 대한 임금프리미엄은 분위별로 다르게 나타나며, 저소득층에서 상대적으로 강한 음의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임금분해결과, 상위임금분포에서 차별의 크기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wage gap between regular and non-regular workers according to the wage distribution in South Korea. In South Korea, there are various types of non-regular workers, and there exists a distinct labor market separation between regular and non-regular workers. In addition, the proportion of non-regular workers in total employment is high, and the wage gap between regular and non-regular workers is steadily increasing. This paper estimates the wage gap between the two groups across the wage distribution  using the unconditional quantile regression model (UQR)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estimation by OLS, which only focuses on the average of wage distribution. Then, we decomposed the wage gap into the explained part caused by the difference of productivity and the unexplained part to estimate the size of discrimination. As a result, the wage premium for regular workers differs according to wage distribution, and it has a relatively strong negative effect under low wage distribution. Moreover, as a result of the decomposition of wages, we identified that the size of the discrimination against non-regular workers increases in upper wage distribution.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21권 3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