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능력개발연구 21권 3호
마이스터고 학생과 특성화고 학생의 진로준비 경험과 진로성숙도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n Career Preparation Experience and Career Maturity between Meister and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 저자명
- 길혜지 백순근 양현경
- 분류정보
- 직업능력개발연구(21-03-08)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8.11.30
- 등록일
- 2018.12.20
이 연구는 고교진학 이전의 개인과 가정배경을 통제한 후, 마이스터고와 특성화고 학생들 간 진로준비 경험과 진로성숙도를 비교·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고용패널Ⅱ(KEEPⅡ) 1차년도(2016년)의 고교 2학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경향점수를 활용한 결합표집에 포함된 1,974명(마이스터고 987명, 특성화고 987명)의 학생을 최종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준비 경험의 다양성을 분석한 결과, 경향점수를 활용한 결합표집 이전에는 마이스터고 학생이 특성화고 학생보다 진로교육 및 활동 참여와 취업지도의 다양성이 모두 유의하게 높았으나, 결합표집 이후에는 취업지도의 다양성만이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진로준비 경험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결합표집 이전과 이후 모두 마이스터고 학생이 특성화고 학생보다 진로교육 및 활동과 취업지도에 대한 만족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마지막으로 진로성숙도를 분석한 결과, 결합표집 이전과 달리 이후에는 진로성숙도의 하위영역(직업이해, 진로탐색, 진로설계 및 준비)과 전체 진로성숙도에 있어 모두 학교유형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부분적으로 마이스터고의 교육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며, 이를 더욱 높이기 위해서는 마이스터고가 학생들을 위한 진로교육 및 활동 참여의 다양성을 높이고 진로성숙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체계적으로 노력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career preparation experience and career maturity between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MSS) and special high school students (SSS) after controlling characteristics related to individual and family backgrounds before entering high school. To this end, 1,974 students including 987 MSS and 987 SSS were analyzed for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using the first year (2016) data of the Korea Education Employment Panel II (KEEPⅡ).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before PSM, the level of diversity experienced by MSS in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and vocational guidanc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SSS. However, after PSM, only MSS’ level of diversity in vocational guidanc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SSS. Second, regardless of PSM, MSS’ satisfaction with career education program and vocational guidanc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SSS. Finally, in contrast to the result before PSM, career maturity of MSS was not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SS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eister high schools have partial educational effects. In order to further improve the effects, it suggests that meister high schools conduct systematic research and make effort to improve the diversity of career education programs and career maturity.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건
KRIVET | 직업능력개발연구 21권 3호 | 바로가기 |
-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7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