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23권 1호

중소기업 초기 경력자의 만화경 경력 태도, 경력 계획, 경력 몰입의 관계: 만화경 경력 태도의 조절된 매개 효과

Relationships of Kaleidoscope Career Attitude, Career Planning and Career Commitment for Early Career Employees in Small-Medium Sized Enterprises: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Kaleidoscope Career Attitude
저자명
김대영 이수영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23-01-01)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20.03.31
등록일
2020.04.17
본 연구는 중소기업 초기 경력자가 인식하는 만화경 경력 태도, 경력 계획, 그리고 경력 몰입의 관계에 대한 만화경 경력 태도의 조절된 매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자 및 중소기업 초기 경력자 경력개발 현황 분석을 위한 설문조사?(김대영 외, 2018)에서 수집된 자료 중, 연구 목적에 따라 5인 이상 300인 미만의 중소기업에 재직 중이고, 경력 5년 미만인 자들의 응답 자료(493개)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력 계획은 만화경 경력 태도와 경력 몰입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세 가지 변수의 관계에 대한 만화경 경력 태도의 조절된 매개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만화경 경력 태도가 한 단위(1점) 증가하면 경력 계획이 경력 몰입에 미치는 조건부 효과는 약 0.13 증가하고, 만화경 경력 태도가 경력 계획을 경유하여 경력 몰입에 미치는 조건부 간접 효과는 약 0.08 증가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학술적 논의와 중소기업 초기 경력자 대상 경력개발의 효과성 향상을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kaleidoscope career attitude(KCA) among KCA, career planning(CP), and career commitment(CC) for early career employees in small-medium size enterprises(SMEs). For doing so, this study used Kaleidoscope Career Attitude scale(Mainiero & Sullivan, 2006), Career Planning scale(Gould, 1979) and Career Commitment scale(Blau, 1988). 493 data from respondents working in SMEs were used for testing the research hypothe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P has the mediating effect between KCA and CC for early career employees in SMEs. Second, KCA has moderated mediation effect among KCA, CP and CC for early career employees in SMEs. When the KCA increases one point, the effect of CP on CC increases by about 0.13 point, and the indirect effect of KCA on CC through CP increases by about 0.08 point. Based upon these results, several implications were then suggested for developing early career employees’ career in SMEs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23권 1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