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능력개발연구 23권 1호
급우의 진로성숙이 고등학생의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 분석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and Career Maturity of Their Classmates : Does classmate peer effect on career maturity exist?
- 저자명
- 이영선
- 분류정보
- 직업능력개발연구(23-01-03)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20.03.31
- 등록일
- 2020.04.17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진로성숙과 급우의 진로성숙 간 관계를 급우효과(peer effect)의 관점에서 검증하였다. 한국교육고용패널Ⅱ 자료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본인을 제외한 급우의 진로성숙도 평균 및 학급 내 진로성숙도 최저점의 영향을 학교 고정효과(school fixed effect)를 투입한 회귀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로 먼저, 급우의 진로성숙도 평균이 높을 때 동일 학급 학생의 진로성숙도가 높아 정적 급우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학급 내 진로성숙도 최저점을 활용한 분석에서도 같은 방향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체 평균 기준 상?하위 집단으로 구분하였을 때도 진로성숙도의 정적 급우효과는 유의하였다. 끝으로, 진로성숙도 급우효과는 다양한 학교 진로교육활동에 참여하는 학생에게 더 크게 작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학생들의 진로교육활동 참여를 장려하고 진로지도 시 급우 간 상호작용을 촉진하여 학교 진로교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진로성숙도가 높은 급우가 롤모델이 될 기회를 활성화하는 동시에 학급 내 진로성숙도가 낮은 학생들에게 교사의 추가적인 관심과 정책 지원을 제언하였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high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and that of their classmates from the perspective of classroom peer effect. Drawing upon data from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Ⅱ, the study uses School Fixed Effect model as well as Ordinary Least Square model. Results are as follows. The mean of the classmates’ career maturity and career maturity of an individual student are in the positive relationship. The positive peer effec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using the minimum of a class, and when dividing into top and bottom subgroups. The positive peer effect on career maturity increases as students actively participate in career technical education in school.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suggests schools should encourage peer interaction related to career design to maximize the effect of the career technical education policy. Also, more research is needed on spillover effect of other career-related choice or attitude in adolescence.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건
KRIVET | 직업능력개발연구 23권 1호 | 바로가기 |
-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7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