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23권 1호

베이비붐 세대의 일자리 특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임금근로자와 자영업자의 비교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Baby Boomers Wage Workers and Self-employed People on Job Satisfaction
저자명
강태석 서선숙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23-01-07)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20.03.31
등록일
2020.04.17
본 연구의 목적은 베이비붐 세대의 일자리 특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임금근로자와 자영업자의 차이를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의 제6차 고령화연구패널조사를 활용하였다. 베이비붐 세대 임금근로자 958명, 자영업자 629명, 총1587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SPSS 2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회귀분석을 하였다. 임금근로자와 자영업자의 비교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임금근로자와 자영업자의 직무만족도는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일자리 특성의 근로시간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임금근로자와 자영업자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일자리 특성의 업무요구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임금근로자와 자영업자의 유의한 차이를 파악하였다. 넷째, 일자리 특성의 적합도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임금근로자와 자영업자의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서 베이비붐 세대의 일자리 특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임금근로자와 자영업자의 차이를 비교분석한 것은 의의가 있을 것이다. 이에 베이비붐 세대의 일자리 특성에서 근로시간의 규칙성, 업무요구의 내용적 요구, 적합도의 기술수준과 교육수준의 중요성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베이비붐 세대 임금근로자와 자영업자의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와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impact of job characteristics on job satisfaction among Baby Boomers wage earners and self-employed people. To this end, the 6th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survey on aging research panels was utilized. 958 wage earners of baby boomers, 629 self-employed people, and a total of 1,587 were studied and analyzed using the SPSS 21 program. The results of a comparative analysis of wage earners and self-employed people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between wage earners and self-employed people, depending o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cond, depending on the regularity and attitude of the job characteristics, the job satisfaction of wage earners and the self-employed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job satisfaction among wage earners and the self-employed was shown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depending on the job requirements of the job characteristics. Fourth, the job satisfaction level of wage earners and the self-employed was confirmed to be significant, depending on the suitability of the job characteristic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regularity, attitude, work requirements, and suitability of working hours that improve job satisfaction for the wage earners and the self-employed of the baby boomers, and it presented basic data and implications for improving job satisfaction for the wage earners and the self-employed.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23권 1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