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23권 3호

인력의 확보가 기업의 혁신활동에 미치는 영향 : 인적자본투자와 연구개발투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s of Securing a Workforce on the Firm’s Innovative Activities : Focusing on the Interaction Effect of Human Capital Investment and R&D Investment
저자명
이승주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23-03-10)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20.11.30
등록일
2020.12.22
기업의 혁신활동은 급속하게 변화하는 기술 및 시장 환경 속에서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방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인재의 확보는 기업의 변화와 혁신을 이끄는 결정적인 요소로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2017년에 조사된「사업체패널조사」7차 자료를 이용하여 핵심인재 및 숙련인재의 확보가 기업의 혁신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 인적자본투자와 연구개발투자가 이 관계를 조절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위계적 조절 회귀분석(Hierarchy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을 통해 검토한 결과, 핵심인재 및 숙련인재를 확보하고 유지하는 기업일수록 혁신활동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적자본투자 및 연구개발투자는 이를 더욱 강화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적자본투자는 숙련인재의 확보가 혁신활동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강화시키는 요인이었으며, 연구개발투자는 핵심인재의 확보가 혁신활동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강화시키는 조절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핵심인재 및 숙련인재를 설정하고, 기업 투자의 상호작용 효과를 고려하여 전략적으로 인재를 확보하고 배치하는 것이 기업의 혁신활동을 늘리는 데에 무엇보다 중요함을 시사한다. 
Innovative activities of firms are attracting attention as a way to secure competitive advantage in a rapidly changing technological and market environment. In particular, securing talented persons is emphasized as a decisive factor in leading corporate change and innovation.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curing core talents and skilled employees on innovative activities of firms using the 7th data of the Workplace Panel Survey conducted in 2017, and to confirm whether human capital investment and R & D investment interact with this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effects by conducting the hierarchy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the firms that secure and maintain core talents and skilled employees had a higher level of innovation activities. Human capital and R & D investments turned out to be factors that further strengthen the effects. In particular, the factor of human capital investment strengthened the positive impact of securing skilled employees on innovation activities, and the factor of R & D investment increased the positive impact of securing core talents on innovative activiti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more than anything to establish core talents and skilled employees considering the specificity of firms and to strategically secure and deploy talented persons considering the interaction effect of corporate investment.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23권 3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