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23권 3호

예비 중등직업교육 교사의 역량기반 수업수행능력과 학생 및 대학 특성의 다층분석

A Multilevel Analysis of Student and University Characteristics on Competency-based Teaching Performance Ability of Pre-Vocational Teachers
저자명
김인곤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23-03-02)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20.11.30
등록일
2020.12.22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 중등직업교육 교사의 역량기반 수업수행능력과 학생 및 대학 특성의 관계를 구명하는 데 있었다. 연구의 모집단은 151개 대학에 재학중인 3,564명의 예비 중등직업교육 교사이며, 표집은 위계적 선형모형 분석에서 요구되는 조건을 고려하여 비례층화로 표집된 35개 대학교 525명 이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예비 중등직업교육 교사의 수업수행능력 전체 변량 중 대학 간 차이로 설명되는 변량은 7.4%로 나타났으며, 학생 간 차이로 설명되는 변량은 92.6%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 특성 변인인 대학설립유형, 수업환경, 수업수행능력 프로그램 참여수준(대학평균)는 수업수행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 중등직업교육 교사의 개인특성 변인 중 학습민첩성, 전공몰입, 교육실습경험, 수업수행능력 프로그램 참여수준 등은 수업수행능력 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상호작용 분석 결과, 수업수행능력과 학습민첩성의 관계에서 수업수행능력 프로그램 참여수준(대학평균)이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예비 중등직업교육 교사의 역량기반 수업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hierarchical relations between student and university characteristics and competency-based teaching performance abilities of prospective vocational teachers. The population of the study includes 3,564 prospective vocational teachers in 151 universities, sampling 525 students (prospective vocational teachers) from 35 univers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variation from the difference between universities was 7.4% of the total variances, and the variation between students was 92.6%. Second, variables of university characteristics, such as the type of university establishment, teaching environment, and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the teaching performance ability program (university averag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teaching performance abilities of prospective vocational teachers. Third, variables of student characteristics, such as learning agility, immersion in major of study, experience of training practice, and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the teaching performance ability program,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teraction effect,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the teaching performance ability program (university average) showe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 between teaching performance ability and learning agility.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esented several implications for developing the teaching performance abilities of prospective vocational teachers.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23권 3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