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23권 3호

고등학교 진학 결정시기에 따른 학교생활 및 진로성숙도 분석

Analysis of School Life and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the Time of Decision Making for High School
저자명
문찬주 정동욱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23-03-03)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20.11.30
등록일
2020.12.22
본 연구는 중학교 시기의 진로교육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고등학교 진학 결정 시기의 중요성과 효과성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 하에 수행되었다. 즉 진학할 고등학교 유형을 결정하는 시기에 따라, 진학 후 학교생활 및 진로성숙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실증 분석하여 관련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연구의 의의 및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2차 조사의 1차년도 고등학교 2학년 학생 자료를 활용하였다. 진학 결정시기와 고등학교 진학 후 학교 생활(학업성취도 및 학교 만족도)및 진로성숙도 간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엄밀하게 분석하기 위해 일반화경향점수(Generalized propensity score)를 역확률가중치(Inverse probability of treatment weight) 방식으로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고등학교 진학 결정시기가 이른 학생일수록 어머니의 교육연한이 길고, 월평균 사교육비 지출이 많았으며, 진로계획이 뚜렷하고, 진로성숙도가 높았다. 또한 특수목적고는 주로 1, 2학년 때, 직업계열 학교는 주로 2, 3학년 때 진학 결정이 이루어졌다. 둘째, 고등학교 진학 결정시기가 이를수록 진로성숙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진학 결정시기가 이르더라도 평균인 집단에 비해 학업성취수준에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넷째, 진학 결정시기가 이를수록 학교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진학 결정시기가 이른 학생들을 위한 교육적 지원 토대 마련, 진로교육 및 교육 수요 파악 노력, 특정 유형 고등학교 진학을 위한 사교육 선행학습 풍토 개선 방안에 대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vidence for career education and student guidance in high school and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this purpose, we use the data of the second-year high school students of the first wave data of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KEEP) provided by KRIVET. For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cision-making time and career maturity, ordinary least square was used. To solve the problem of sample selection bias, the generalized propensity score was used in the inverse probability of treatment weight method.??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the students who made an early decision on which high school to attend, their mother had a long period of education, and they had a large monthly expenditure on private education, a clear career plan, and high career maturity. Second, career maturity level was higher when the decision on high school was made earlier. Third, there was no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level compared to the average group even when the decision on high school was made early. Fourth, the earlier the school decision time, the higher their satisfaction with schoo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that a basis for educational support be laid for students who make an early decision on high school, that efforts be made to grasp the needs for career education and educational demand of students, and that policies be prepared for the reform of private education.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23권 3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