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23권 3호

대학 취업률 경로 분류와 취업률 결정 요인 : 대학 진로·취업 지원 현황을 중심으로

The Factors Determining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Employment Rate : focusing on the career development system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저자명
송선혜 유한구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23-03-05)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20.11.30
등록일
2020.12.22
본 연구는 대학의 진로·취업 지원 체제가 대학 취업률에 유의하게 작용하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잠재계층성장모형(LCGA), 이항로짓, 다항로짓모형이며, 분석자료는 대학알리미 7개년 취업률 자료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진로취업 현황조사’이다. LCGA 분석한 보정취업률 경로는 4년제는 3개 집단, 전문대 2개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4년제 대학은 비수도권에 있는 대학일수록 ‘중-유지’나 ‘고-유지’ 집단보다 ‘저-유지’ 집단, 사립대학이거나 대학 구성원이 ‘진로지도 및 상담 내역 관리’를 온라인 시스템을 이용할수록 ‘저-유지’보다 ‘중-유지’ 집단, 대학이 졸업생·동창회의 정기적 오프라인 모임을 개최할수록 ‘저-유지’나 ‘중-유지’보다 ‘고-유지’ 집단일 가능성을 보였다. 전문대는 ‘진로 및 취·창업 교육과정 개발’이나 ‘취업 지도 및 지원’에 전임교원 참여 정도가 높을수록 ‘고-유지’ 집단일 가능성을 높이고, 비수도권 전문대학일수록 ‘고-유지’ 집단에 속할 가능성을 낮추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higher education career development system on the employment rate of higher education graduates. The methods of analysis include the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LCGA), the Logit model and the multinomial Logit model. The data used for the analysis include the employment rates collected from the website of Academyinfo and the ‘2019 Career Employment Status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The LCGA results in the employment rates of universities and colleges graduates showed two and three development trajectories, respectively. The location and type of university establishment significantly affected the development trajectories of the employment rates of university graduates. Also, significant determinants for development trajectories of the employment rates of universities graduates turned out to be ‘job guidance and support’ for full-time faculties, online system use of ‘career guidance counseling details,’ and networks such as alumni associations. In the case of colleges, the key determinants for development trajectories of the employment rates included the college location, ‘job guidance and support,’ and the development of 'career guidance courses' for full-time faculties.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23권 3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