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23권 3호

생산기능직의 기술적 숙련 개발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분석

On the Influentials of Technical Skills for Production Workers
저자명
노용진 김미란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23-03-06)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20.11.30
등록일
2020.12.22
본 연구는 자동화기술의 발전과 함께 기술적 숙련이 제조업의 경쟁력 유지에 결정적 중요성을 가진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인적자본패널(HCCP) 7차(2017년)자료 중 근로자 조사를 이용해서 생산직 근로자의 기술적 숙련 개발의 영향요인들을 실증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작업현장의 특수성을 감안하면서 Koike(1994)의 지적 숙련 형성을 원용하여 다음과 같은 영향요인들을 도출하였다: 학력, 직업자격증의  보유, 훈련시간, 현장훈련, 근속년수, 직무의 비일상성과 숙련의 기업간 통용성, 직무순환. 그 밖에 기술적 숙련에 효과가 있는 최저수준의 훈련시간을 찾는 탐색 작업도 시도하였다. 통계모형은 로짓모형이고, 분석은 35-45세 미만과 45-60세 미만의 두 연령집단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45-60세 미만 연령대에서는 학력 중 대졸(+), 현장훈련(+), 근속년수(+), 숙련의 기업간 통용성(-) 등 대부분의 변수들이 기술적 숙련의 개발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자격증(+), 훈련시간(+), 직무의 비일상성(+) 등은 부분적으로 기술적 숙련의 개발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리고 이 연령대에서 기술적 숙련의 개발에 영향을 주는 최저 훈련일수는 13일 정도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반면에 35-45세 연령대에서는 자격증 보유(+), 근속년수(+) 등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기술적 숙련의 개발에 영향을 주었고, 대졸(+), 직무의 비일상성(+) 정도가 부분적으로 통계적 유의도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35-45세 미만 연령대의 기술적 숙련 개발에서 기업 내 훈련보다는 입사 전 교육이나 자격증 등이 더 많이 기여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들을 요약·해석하고 정책적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들을 논의하였다.
Starting from the notion that technical skills are critical in maintaining competitiveness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automation, this study conducts an empirical study on which factors affect technical skills for production workers, using the employee survey from the 7th wave of HCCP. By quoting Koike (1994) who studied the development of intellectual skills for Japanese workplaces, we identify that the following factors influence production workers in Korean workplaces: educational attainment, skills credentials, training days, on-the-job training, tenure, non-routineness of job, and firm-specificity of skills. These factors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development of technical skills. Additionally, we explore how job rotation affects the development of technical skills and how many days of training affect the development positively. Using the logit model, we analyze two age groups of 35-45 and 45-60 years ol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for the 45-60 age group, being a college graduate, OJT, tenure, and firm specificity of skills hav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technical skills. Also, skills credentials, training days, and non-routineness of job partially hav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technical skills. We find that thirteen days is the minimum duration of training that can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the other hand, for the 35-45 age group, skills credentials and tenure hav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Also, college graduate and non-routineness of job partially hav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Finally, we summarize and discuss the empirical finding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drawing their practical implications.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23권 3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