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23권 3호

근로자의 무형식학습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혁신역량의 매개효과와 조직문화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Workers’ Informal Leaning on the Turnover Intention : Mediated Effect of Innovation Capability and Moderated Mediation of Organizational Culture
저자명
민현주 성수현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23-03-07)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20.11.30
등록일
2020.12.22
그동안 혁신역량은 조직의 성과나 대외 경쟁력 수준에서 활용되어 왔고, 성과의 예측변인인 근로자의 무형식학습은 인적자원개발 차원에서 다양하게 다루어져 왔다. 그에 비해 근로자 수준에서 인과관계를 밝힌 연구는 미흡하였다. 본 연구는 근로자의 무형식학습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혁신역량이 매개하는지, 그 과정을 조직문화에 의해 조절된 매개효과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인적자본기업패널(HCCP) 근로자 자료와 Hayes의 Process Macro 4번, 14번 model을 활용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매개모형에서 무형식학습 참여는 직접적으로 이직의도를 낮추고, 혁신역량을 매개로 이직의도를 간접적으로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형식학습 참여가 혁신역량을 매개로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관계지향문화, 혁신지향문화, 시장지향문화는 이직의도를 낮추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셋째, 위계지향문화는 이직의도를 유의미하게 높이지만, 혁신역량과 상호작용은 조절된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형식학습은 근로자들에게 경력개발과 진로계획을 위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둘째, 본 연구는 노동시장에서 근로자들의 주체적인 직업적응을 강조한다. 마지막으로, 조직관점에서 근로자의 역량개발과 이직방지를 위해 무형식학습을 독려하는 조직문화 구축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Innovation competency is crucial to improving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external competitiveness, and informal learning of workers plays various roles in developing human resources. Using the Human Capital Enterprise Panel (HCCP) worker data and Hayes' Process Macro 4 and 14 models, this study analyzes whether the innovation competency is mediat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ers' informal learning and turnover intentions, and whether the process has a mediating effect controlled by organizational cultur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 in the meditated model, participation in informal learning had a direct effect on reducing their turnover intentions and indirectly decreased the turnover intentions through innovation competency. Second, the relationship-oriented culture, the innovation- oriented culture, and the market-oriented culture had a moderated mediation effect in lowering the turnover intentions. Third, hierarchical culture significantly decreased the turnover intentions, but the interaction between hierarchical culture and innovation competency had no moderated mediation effect. These findings had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informal learning offers concrete information to workers for their career development and career planning. Second, i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workers’ subjective occupational adaptation in the labor market. Finally, organizational culture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veloping workers' capabilities and decreasing their turnover intentions through participation in informal learning.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23권 3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