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24권 1호

시·도교육청의 진로교육 여건과 중학생 진로개발역량 수준의 관계 분석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Career Education Conditions and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저자명
정설미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24-01-02)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21.03.31
등록일
2021.04.13
진로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공감을 바탕으로 진로교육 정책이 양적·질적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가운데 학교 소재 지역에 따른 교육 격차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16년~2019년 시·도교육청별 진로교육 현황 자료를 수집하여 진로교육 여건의 차이 및 변화추이를 분석하였으며, 2019년의 시·도교육청 진로교육 현황 자료와 「진로교육 현황조사」자료를 결합하여 위계적 선형모형을 적용하고 시·도교육청 진로교육 여건과 중학생 진로개발역량 수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먼저 시·도교육청별 진로교육 여건의 차이 및 변화추이 분석결과, 인적·물적자원의 지원은 모두 비수도권 지역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비수도권 내에서도 중소도시가 집중되어 있는 도 교육청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학생 만 명당 누적 진로체험 인증기관 수, 학생 1인당 진로교육비, 진로교육 자체 자료 제작 및 배포 여부는 중학생 진로개발역량 수준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나, 학생 만 명당 진로진학상담교사 수는 유의한 영향이 없었다. 본 연구는 시·도교육청의 지원 노력 및 여건이 진로교육 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확인하였으며, 지속적인 인적·물적자원 지원과 진로진학상담교사 제도의 개선을 제언하였다.
While career education policies have been developing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over the past decade, concerns about regional disparities are growing. Therefore, this paper analyzes the gaps and changes in career education conditions by collecting regional data from 2016 to 2019. Furthermore, using the collected data above and the Career Education Survey data in 2019, this paper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career education conditions and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by applying a hierarchical linear model.
We find that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are all higher in non-metropolitan areas, especially in the provincial areas. The trend might reflect the government’s differential aid for different areas to resolve educational disparities. Next, the number of career counseling teachers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students’ level of career development;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career experience institutions, career education costs per student, and whether or not to provide education materials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students’ level of career development. This study empirically confirms the effect of institution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on career education outcomes and suggests that the government continuously support career education and improve the career counseling teacher system.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24권 1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