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24권 3호

지식 사용이 임금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knowledge use on wages
저자명
박래효 박철성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24-03-01)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1.11.30
등록일
2021.12.13
지식의 사용이 임금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OECD의 성인역량조사(PIAAC) 자료를 사용하여 한국을 비롯한 21개국에 대하여 지식의 보유와 사용의 임금효과를 추정하였다. 그 결과 근로자의 지식의 사용은 교육수준, 직장경력, 지식의 보유수준 못지않게 임금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통제변수들을 반영할 경우 직장 내에서의 지식의 사용이 임금에 미치는 효과는 1 표준편차당 월총임금의 최고 26.5%(영국)에서부터 최저 7.7%(카자흐스탄)에 이르며 한국에서는 9%의 영향을 미친다. 회귀계수의 통계적 유의성은 조사대상 국가 21개 전체에서 1% 수준으로 성립한다. 이 결과는 지식이 생산성과 임금에 미치는 과정은 다양한 경로가 존재한다는 것을 시사하며, 그러한 특징들은 세계적으로 보편적 현상임을 알려 준다.
To examine the effects of knowledge use on wages, we use OECD's PIAAC data and estimate wage equations for Korea and twenty other countries. We find that,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workers' use of knowledge (skills), along with skill scores, education, and job experience, has a strong effect on wages. An increase of knowledge use by one standard deviation is associated with wage increase of 26.5% in U.K. (highest), 9% in South Korea, and 7.7% in Kazakhstan (lowest). The coefficient is significant at the 1% level in all 21 countri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knowledge can affect productivity in workplaces in various ways, and that the effect of knowledge use on wages is as universal as that of skill level on wages.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24권 3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