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25권 1호

대학생 취업지원 프로그램 참여유형과 관련요인 분석

Latent Classes in the Career and Employment Support Programs of College Students and Testing the Effects of Related Variables
저자명
김정은 오영교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25-01-01)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2.03.31
등록일
2022.05.12
이 연구는 대학생들의 대학 차원의 진로 및 취업지원 프로그램 참여유형에 따라 잠재계층을 나누고, 분류된 각 집단유형(계층)별 특징과 예측요인 및 유형별 학생 개인 차원의 진로준비활동과 학교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고용패널Ⅱ(KEEP)의 4차년도(2020) 데이터인 대학생 8,516명(남학생 4,465명(52.4%), 여학생 4,051명(47.6%))을 대상으로 잠재계층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진로 및 취업지원 활동 참여유형은 ‘참가형(N=267, 5.9%)’, ‘기본형(N=1,514, 33.3%)’, ‘저조형(N=2,766, 60.8%)’으로 분류되었다. 특히, 공변인 투입 시 계층변화와 분류오류 문제를 보완한 3-STEP접근법을 적용한 결과 유형 분류 예측변인으로, 개인 특성에서는 학점과 조별 전공과제/공부 시간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다. 전공계열 관련 변인에서는 대학유형 중 2년제 전문대와 4년제 대학, 전공계열에서는 사회계열과 공학계열, 의·보건계열, 예체능계열의 전공이 영향을 나타냈고, 진로/직업탐색 과목 수강의 경우 거의 모든 계층 분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분류된 집단별로 학생 차원의 진로준비활동 여부와 만족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진로준비활동 하위 영역 중 직업훈련, 자격증 취득, 방문부탁, 면접훈련, 외모관리 경험에서 차이가 나타났고, 만족도의 경우 학과 만족도와 학교생활 만족도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들의 진로 및 취업지원 활동 참여 유형을 고려한 맞춤형 진로지원 프로그램 개선 및 정책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career and employment support activities for college students and examine whether relating factors predict class membership and their differential effectiveness fo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student satisfaction. Latent class analysis was conducted by Mplus 8.4 using the 4th(2020)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KEEP) data. The subjects included 8,516 college students (4,465 male students (52.4%), 4,051 female students (47.6%)).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three types of latent classes: ‘Engaged type (n=267, 5.9%)’, ‘basic-participation type (n=1,514, 33.3%)’, ‘Disengaged type (n=2,766, 60.8%)’ for career and employment support activities.
As for the predictors of class classification, as an individual characteristics, GPA and group study time for major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Among the variables related to school type, type of colleges, major, and subjects showed a statistically meaningful effect. Regarding the actual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satisfaction,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students'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career and employment support activities. Given the identified types, customized supporting programs and policies for each type we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25권 1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