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25권 1호

후기 청소년의 직업 인식 및 직업인지도 분석

An Analysis of Vocation Perception and Cognitive Occupational Map in Late Adolescents
저자명
김기남 김형택 최보영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25-01-03)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2.03.31
등록일
2022.05.12
본 연구에서는 후기 청소년이 인식하고 있는 직업을 선정하여 타당성을 확인한 후, 직업인지도를 작성함과 동시에 성역할 유형, 지위수준의 성별 차이를 살펴보았다. 선정된 직업으로 구성된 질문지를 후기 청소년에게 배부하여 총 384명의 사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엑셀 2019와 SPSS 18.0을 사용하여 내용타당도 검증(CVR), 빈도분석, 기술통계량,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직업을 선정하였고, 타당성 검증을 통해 34개의 직업을 최종 도출하였다. 둘째, 후기 청소년들의 직업 인식은 중성적이고, 지위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더불어, 성역할 유형에서는 16개의 직업에서 성별 차이가 나타났고, 지위수준에서는 3개의 직업에서 성별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성역할 유형은 실재적 영역(R)의 직업이 가장 남성적으로 인식하였고, 지위수준은 관습적 영역(C)의 직업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더불어, 진로발달적인 차원에서 중기 청소년(만15세∼만18세)이 넘어가는 후기 청소년(만19세∼만24세) 시기에 성역할 유형, 지위수준의 인식이 변화가 나타났다. 위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After selecting the jobs recognized by late adolescents and confirming their validity, this study formulated their congnitive occupational map and examined types of gender roles and gender differences according to status level. A total of 384 cas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rough the distribution of questionnaires on selected occupations to late adolescents.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content validity ratio (CVR),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t-test were conducted using Excel 2019 and SPSS 18.0. This research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jobs were select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34 jobs were finally derived through validity verification. Second, the late adolescents’ job perception was found to be neutral, and the awareness level of status was high. In addition, there were differences by gender in 16 occupations concerning the types of gender roles, and differences by gender in three occupations existed in relation to the status level. Third, with regard to the gender role type, the occupation in the real domain (R) was perceived as the most masculine, and as for the status level, the occupation in the customary domain (C) was the highest. Moreover, in terms of the career development aspect, there was a change in their perception of gender role type and status level during the late adolescent period (approximately 19?24 years old) from mid-adolescents (about 15?18 years old). Based on the above results,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for subsequent studies were discussed.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25권 1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