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25권 1호

청년 재직자 직업훈련의 기업규모별 노동시장 성과(임금·직무만족도·장기근속)

Differences in vocational training for young workers by company size and their effects on wages, job satisfaction, long-term tenure
저자명
문영만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25-01-05)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2.03.31
등록일
2022.05.12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2011-2020)’과 ‘인적자본기업패널(2020)’ 자료를 사용하여 청년 재직자 직업훈련의 노동시장 성과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훈련 참여율과 1인당 훈련비용은 중소기업이 대기업보다 3배 이상 낮았으며, 대·중소기업 간의 직업훈련 참여율 격차는 청년 재직자(13.3%p)가 전체 노동자(11.5%p)보다 더 컸다. 둘째, 패널회귀분석을 통해 청년 재직자의 직업훈련 참여 결정요인을 추정한 결과, 대기업, 고학력, 고임금, 정규직, 노조원, 직무만족도, 화이트칼라 등이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패널회귀분석을 통해 직업훈련의 임금효과를 추정한 결과, 중소기업(2.2%)과 대기업(2.2%)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패널회귀분석을 통해 직업훈련의 직무만족도 효과를 추정한 결과,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영향력은 중소기업(5.4%)이 대기업(5.0%)보다 컸다. 다섯째, 직업훈련을 받은 청년 재직자의 이직률이 유의하게 낮았으며, 직업훈련의 장기근속 효과를 추정한 결과 직업훈련 2년 이후(t-2, t-3)부터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청년 재직자의 직업훈련이 기업의 생산성과 노동자들의 근로조건(임금, 직무만족도, 이직률, 장기근속)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First, the participation rate of vocational training was three times lower in SMEs (5.1%) than in large enterprises (18.3%). Second,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determinants of vocational training participation, large companies, high education, high wages, regular workers, union members, job satisfaction, and white collar were significantly higher. Third,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wage effect of vocational training, both SMEs (2.2%) and large enterprises (2.2%) had a positive effect. Fourth,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job satisfaction effect of vocational training, i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and the influence was greater i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5.4%) than large enterprises (5.0%). Fifth,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longevity effect of vocational training, i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after 2 years of vocational training (t-2, t-3).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25권 1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