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25권 2호

청년 구직자의 중소기업 취업의향 영향 요인 연구: 계획된 행동 이론을 중심으로

Factors Influencing Young Job Seekers’ Intention to Work in SMEs: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저자명
유재흥 이정환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2.07.31
등록일
2022.08.30
본 연구는 청년 구직자의 중소기업 취업의향 영향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계획된 행동이론을 바탕으로 연구모형을 수립하고 인지된 위험 요인을 추가로 반영하였다. 특히 그동안 중소기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청년층의 취업을 기피하게 만든다는 것은 통설로 받아들여졌으나, 이를 실증한 연구는 많지 않다는 점을 반영하여 주관적 규범으로서 주변인의 인식을 중요하게 고려하였다. 나아가 중소기업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개인의 특성에 따라 취업의향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다른지를 규명하였다. 분석 결과 주관적 규범은 인지된 위험, 개인의 우호적 태도, 행위 통제에 비해 월등히 높은 영향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고학력이거나 수도권 거주의 경우 이러한 사회적 영향력이 취업의향에 미치는 영향이 강화되는 조절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중소기업 취업에 대한 개인의 우호적 태도나 충분한 역량에도 불구하고 가족, 친구, 동료, 사회 집단의 부정적 인식이 청년 구직자의 중소기업 취업 의사결정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는 중소기업의 사회적 이미지를 개선하는 노력이 단순히 정책적 구색 맞추기를 위한 수단이 아니라 청년구직자의 중소기업 취업을 촉진하는데 우선적이고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한 정책임을 시사한다. 
This study established a research model based on Theory of Planned Behavior in order to empirically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employment intention of young job seekers, and additionally reflected perceived risk factors. In particular, it has been widely accepted that the negative perception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makes young people avoid employment. However, reflecting the fact that there are not many empirically analyzed studies, the perception of the surrounding people as a subjective norm was considered as important.Furthermore,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social perception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differs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gender, academic background, residential area) on the intention to work differently through the moderating effect.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subjective norms had a significantly higher influence than perceived risk, personal friendly attitude, and behavioral control. In addition, in the case of highly educated or residing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moderating effect of these social influences on employment intention was strengthened. This indicates that the negative perceptions of family, friends, colleagues, and social group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young job seekers' decision-making to find employment in SMEs, despite an individual's favorable attitude toward employment in SMEs or sufficient compete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efforts to improve the social image of SMEs are not simply a means to match the policy assortment, but rather a policy that requires priority and continuous investment to promote youth job seekers' employment in SMEs.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25권 2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