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25권 3호

성인 구직자의 취업스트레스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 회복탄력성과 성장마인드셋의 조절효과

Relationship between job seeking stres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adult job seekers: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and growth mindset
저자명
손진희 김유진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2.11.30
등록일
2022.12.21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 구직자를 대상으로 취업스트레스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 관계에서 회복탄력성과 성장마인드셋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강원도 W시 진로교육센터 및 구직관련 지원기관에서 관련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구직자에게 설문을 배포하였고, 최종적으로 207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스트레스는 진로준비행동을 유의한 수준에서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둘째, 취업스트레스와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를 회복탄력성이 조절하였다. 회복탄력성이 평균이하 혹은 평균인 집단에서는 취업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취업준비행동이 높아졌고 회복탄력성이 평균 이상인 집단은 취업스트레스 수준과 무관하게 다른 두 집단보다 높은 수준의 진로준비행동을 보고하였다. 셋째, 취업스트레스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성장 마인드셋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대학생 중심으로 수행된 취업스트레스와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성인 구직자를 대상으로 확장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에 대한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 job stress for job seekers participating in related programs at career education centers and job-related support institutions, and to confirm whether resilience and growth mindset control this relationship. The data of 207 adult job-seekers were used for analysis. As a result, first, resilience, growth mindse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stres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resilience showed a moderating effect, but growth mindset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Additionally, among the sub-variables of job stres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collection activities showed moderating effect on growth mindset.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25권 3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