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25권 3호

4년제 대졸자의 재학 중 진로·취업 지원 프로그램 참여가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4-Year College Graduates’ Participation in Career and Employment Support Programs on Employment Outcomes
저자명
김나영 우선영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25-03-02)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2.11.30
등록일
2022.12.21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 및 대학 수준 공변수를 통제하였을 때, 4년제 대졸자의 재학 중 진로·취업 지원 프로그램 참여와 노동시장 성과와의 인과적 관계를 면밀하게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진로·취업 지원 프로그램 참여 효과와는 상관없이 참여 집단과 미참여 집단 특성 간 학생 및 대학 특성의 체계적인 차이를 통제하고자 다층경향점수의 역 확률 가중치를 적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2019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2018 GOMS)’ 자료와 대학알리미의 대학공시자료를 활용하여 대학 중 진로·취업 지원 프로그램 참여 경험이 졸업 후 노동시장 성과(대학 전공 지식의 업무 도움 정도, 전공 일치도, 업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취업 지원 프로그램 유형에 따라 학생의 참여정도에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학생 및 대학 수준 공변수를 통제하였을 때, 진로·취업지원 프로그램 참여 여부는 대학 전공 지식의 업무 도움정도와 업무 만족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 전공지식의 업무 도움정도와 업무 만족도는 졸업평점, 대학 만족도, 삶의 만족도, 우울, 전공계열, 대학소재지 등 학생 및 대학 수준 변수에 유의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진로·취업 지원 프로그램 참여를 장려하기 위한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causal effect of 4-year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on in career development and employment support programs on employment outcomes(job assistance of college major knowledge, college major and job congruence, and job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the hierarchical inverse probability treatment weighting(IPTW) of the propensity score was applied to increase causal inference as well as to eliminate any sample selection bias, Data from 2018 GOMS(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and the Information Service of Higher Education(AcademyInfo)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degree of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career development and employment support programs. Second, when controlling for student and university level covariates, the participation in career development and employment support program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degree of job assistance of college major knowledge and job satisfaction. Third, university students’ individual characteristics (e.g., GPA, college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depression, and filed of major) as well as university characteristics (e.g., college location)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degree of job assistance of college major knowledge and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we discusse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effective interventions for encouraging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on in career development and employment support programs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25권 3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