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25권 3호

국내 청년층 근로자의 고용의 질 결정요인과포용적 성과 검증 연구

Examining determinant and outcome factors of the labor quality of the employed youth in Korea
저자명
조윤성 김랑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25-03-03)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2.11.30
등록일
2022.12.21
본 연구는 국내 청년층 노동시장 이행 추적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청년층의 고용의 질 유형을 도출한 후 고용의 질 결정요인과 성과요인을 검증하였다. 먼저 현재 고용상태에 있는 국내 청년층의 고용 특성과 관련하여 전문성 개발, 근로환경, 경제적 영역별 고용의 질 지표를 중심으로 3단계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불만족형’, ‘보통형’, ‘만족형’과 같이 총 세 가지 프로파일 유형이 도출되었다. 다음으로 청년층의 고용의 질 결정요인 분석 결과, 개인적 요인에서는 성별, 연령과 같은 인구변인과 함께 근로자의 통제소재, 신뢰, 공정성 인식과 같은 심리 변인이 도출되었다. 구조적 요인의 경우 현재 고용상태와 기업규모가 유의한 변인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국내 청년층 고용의 질 유형에 따른 결과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 청년층의 고용의 질 수준이 높을수록 자신의 경제적 상황과 가정생활에 대한 낙관성, 만족감, 행복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참여 수준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를 통하여 청년층의 고용의 질 개선은 단순히 청년 개인의 경제적 활동 참여 증진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삶의 전반 영역에 대한 긍정적 심리를 형성하고 더 나아가 사회적 참여를 촉진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사회 통합의 중요한 선결 요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eterminant and outcome factors of the labor quality, followed by identifying latent profile of youth. First, in relation to the quality of labor of the currently employed youth, a three-step latent profile analysis was performed focusing on indicators by professional development, working environment, and economic areas. As a result, a total of three profile types were derived: ‘dissatisfied’, ‘normal’, and ‘satisfied’. Next,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of labor quality, 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workers' locus of control, trust, and justice perception along with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gender and age were derived from individual factors. In the case of structural factors, the current employment status and company size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Finally, the outcome factors according to the type of labor quality of the youth were analyz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labor quality of the domestic youth, the higher the optimism, satisfaction, and happiness about their economic situation and family life.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social network. Through this, it can be confirmed that improving the quality of labor of young people is not only an increase in individual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but it is also an important prerequisite for social integration by forming a positive psychology for all areas of life and further promoting social participation.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25권 3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