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25권 3호

중고령 임금근로자의 일자리 특성이일과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주관적 계층의식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job characteristics that influences work and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workers
저자명
김지영 이민영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25-03-05)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2.11.30
등록일
2022.12.21
본 연구는 최근 노동시장에 재진입하는 중고령 근로자가 증가함에 따라 중고령  임금근로자의 일자리 특성과 일과 삶의 만족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주관적 계층의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7차 고령화연구패널조사」에서 임금근로자 1,317명의 응답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일자리 특성에서 근무 여건과 업무 특성, 조직 분위기는 일의 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월평균 임금, 근무시간 규칙성, 업무 성격 등의 일자리 특성은 삶의 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일자리 특성 및 일과 삶의 만족 간의 관계에서 주관적 계층의식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고령 근로자의 일터환경 개선을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of middle-aged workers on job and life satisfaction were examined, and furthermore, the mediating effects of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were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job/life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the survey of 1,317 middle-aged workers was conducted by the Korean Logitudinal Study of Aging 2008.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working conditions(job status, monthly average wage, regularity of working hours), work characteristics(physical and office duties), and organizational environment had significant effects on job satisfaction. Also, job characteristics with monthly average wage, regularity of working hours, and work characteristics of office job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Furthermore, the mediating effect of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job/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worke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except for work type and organizational envrion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ed the quality of jobs for middle-aged workers and the ways to improve the workplace environment.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25권 3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