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25권 3호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고용가능성 연구 동향 분석:국외 학술지를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Employability Research Trends Using the Topic Modeling: for Overseas Journals
저자명
강민지 김민희 정진철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25-03-08)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2.11.30
등록일
2022.12.21
이 연구는 토픽모델링을 사용하여 국외 고용가능성 연구의 잠재적인 주제 발굴을 통한 시사점 도출을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국외 고용가능성 연구 1,192개 문헌의 초록을 Netminer 4.0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student, skill, graduate, employment, university 등이 높은 빈도의 주제어로 나타났다. 고용가능성 연구의 주요 토픽을 추출한 결과, 조직에서의 고용가능성, 정책에서의 고용가능성, 교육기관에서의 고용가능성, 특정 집단에서의 고용가능성이라는 4가지 토픽이 추출되었다. 기존 고용가능성 분류에서 중요하게 제시된 개인 차원의 주제가 토픽으로 추출되지 않았으므로 개인 차원, 특히 심리적 관점에서의 고용가능성 연구가 확대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고용가능성 연구의 수는 2017년을 기점으로 폭발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이후의 연구 비중은 교육기관에서의 고용가능성 연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반면, 정책과 조직에서의 고용가능성에 대한 연구는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서 향후 고용가능성 연구에서 주목해야 할 연구 분야라 할 수 있다. 이에, 국내 고용가능성 연구는 연구의 양적 성장 및 정책 분야와 특정 집단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국내 주요 주제인 교육기관에서의 고용가능성 연구도 노동시장, 교육과정 등 다양한 관점에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deriving implications through discovering potential topics for overseas employability research using the topic modeling.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bstracts of 1,192 employability research using Netminer 4.0, study, skill, gradate, employment, and university were high-frequency keywords. As the main topics of employability research, four were extracted. topic 1 is employability in organizations, topic 2 is employability in policies, topic 3 is employability in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topic 4 is employability for specific groups. Since a topic regarding individual level, which was importantly suggested in former research is not included, research on employability at the individual level, especially from a psychological perspective, needs to be expanded. The number of employability research has exploded since 2017, and the proportion of employability research in educational institutions which led to this trend is continuously decreasing, while employability research in policies and organizations is increasing. The implications for Korean employability research are, first, it is necessary to conduct more research on employability for quantitative growth and more attention is needed on employability in policies and for specific groups as insufficient research areas. Second, employability research in educational institutions, which is a major topic in Korea, needs to adopt various perspectives such as the labor market and curriculum.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25권 3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