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25권 3호

재활치료 인력의 전문성 구성요소 탐색

A Study on the Components of Rehabilitation Therapists’ Expertise
저자명
신지영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2.11.30
등록일
2022.12.21
의료 업무에 참여하는 다양한 보건의료 인력의 전문성이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이들에게 요구되는 역량에 대한 심층적 논의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 연구는 업무가 전문적으로 분업화되어 있는 재활의료 영역의 사례를 통해 재활치료 인력에게 요구되는 전문성을 개념화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의사, 물리치료 전문가로 구성된 18명의 재활치료 공급자와 2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한 후 주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재활치료 인력의 전문성 구성요소로는 질환에 대한 의학적 지식, 치료 기술의 이해 및 적용, 환자 맞춤형 치료 경험, 치료에 대한 충분한 설명, 소통에 기반한 정서적 유대감, 환자의 치료 참여 동기부여라는 6개 주제가 도출되었다. 이는 재활치료 인력에게 요구되는 역량이 치료사 개인 차원의 전문지식이나 경험을 넘어 환자 중심의 관계적 측면까지 포괄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끝으로 전문성 구성요소와 관련된 현행 인력 양성제도와 보수교육의 한계점을 검토하고 양질의 보건의료 인적자원 개발을 위해 제도적으로 개선이 필요한 점들을 논의하였다.
The expertise of various healthcare providers is being valued. However, there is no in-depth discussion on the competencies required of them. This study attempted to conceptualize the expertise of healthcare providers through the case of rehabilitation where tasks are professionally divided. The thematic analysis was conducted after in-depth interviews with 18 rehabilitation providers and 20 patients.
As a result of the study, six themes were derived: medical knowledge of the disease, understanding and applying therapeutic skills, patient-specific experience of therapy, sufficient explanation of the therapy, emotional bond based on communication, and patient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therapy.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competencies required for rehabilitation therapist ranging from professional knowledge or experience at the individual level of the therapist to patient-centered relational aspects. Finally, we’ve managed to review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training system and continuing education for the rehabilitation therapist related to the components of expertise and discussed the improvements of human resources system for developing professional health care.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25권 3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