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26권 1호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자의 자활사업 참여 경험에 관한 질적메타분석

The Qualitative Meta-Synthesis on the Experiences of Self-Sufficiency Program Participants
저자명
조일원 강혜영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26-01-10)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3.03.31
등록일
2023.04.19
본 연구는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자의 장기 수급 및 반복 수급의 문제가 대두되어 오면서 자활의 동인이 될 수 있는 자활사업 참여 경험을 통해 그 본질을 이해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Noblit과 Hare(1988)의 질적메타분석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자활사업 참여 경험을 단계별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 번째 단계인 자활사업 참여 이전 경험에서는 ‘생애위기와 분투 속에서 빈곤에 내몰리기’, 두 번째 단계인 자활사업 참여 경험에서는 ‘나아갈 곳 없는 척박함 속에서 미래를 꿈꾸며 조응(照應)하기’, 세 번째 단계인 자활사업 참여 이후 경험에서는 ‘자활사업의 유지와 탈피의 톱니바퀴 속에서 합리성으로 나아가기’라는 종합적 주제가 도출되었다. 이를 최종 추상화한 개념은 ‘살아내기 위한 제도 내 안주와 제도 밖 자립의 딜레마 속에서 합리성으로 나아가기’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그 의미를 논의하고 고용서비스 개입을 위한 시사점과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As the issue of long-term and repeated receipt and payment of recipients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emerged, the qualitative meta-analysis method of Noblit and Hare (1988) was used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participating in self-sufficiency projects, which can be a driving force for self-sufficiency. Based on the analysis, the first step, the experience before participating in the self-sufficiency project, was “driven into poverty amid life crises and struggles,” and the second step,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e self-sufficiency project, was “dreaming of the future in barrenness with nowhere to go.” In the stage after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self-sufficiency projects, a comprehensive theme of “moving toward rationality in the cogwheel of maintaining and escaping self-sufficiency projects” was derived. The concept that finally abstracted this was “moving toward rationality in the dilemma of comfort within the system to survive” and “self-reliance outside the system.”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26권 1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