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26권 1호

근로자의 세대에 따른 조직의 관계지향문화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조직신뢰와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The impact of group cultur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cross generations of employees: Mediation of organizational trust and job satisfaction
저자명
안새별 장은지 김유정 차정민 홍세희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26-01-08)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3.03.31
등록일
2023.04.19
본 연구는 X세대와 밀레니얼 세대 근로자에게 관계지향문화가 조직신뢰와 직무만족을 매개로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력을 행사하는지 검증하고, 해당 변인 간 관계에서 세대에 따른 차이가 존재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적자본기업패널 Ⅱ차 WAVE 제1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한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관계지향문화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X세대가 더 강력하게 나타났으나, 조직신뢰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밀레니얼 세대가 더 강했다. 더불어 X세대는 관계지향문화와 조직몰입 간 관계에서 조직신뢰와 직무만족의 부분매개효과가 성립하였고, 밀레니얼 세대의 경우 완전매개효과가 성립하였다. 본 연구는 두 세대에게 관계지향문화와 조직몰입 간 관계에서 유의한 매개효과를 지닌 요인을 확인하였다는 점과 세대 간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조직 내 다양성을 포용하는 조직문화 형성의 중요성과 근로자의 조직몰입을 증진시킬 수 있는 조건을 제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group cultur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trust and job satisfaction across Generation X-ers and Millennial employees using data from the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HCCP) Survey. The results of the multiple group analysis identified that Generation X-ers showed a stronger effect of group cultur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n Millennials. However, Millennials showed a stronger effect of organizational trus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n Generation X-ers. Furthermore, Generation X partially mediated group cultur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organizational trust and job satisfaction, whereas Millennials had a full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highlight the significance of group culture and embracing diversity within an organization in improving employees’ organizational commitment.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26권 1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