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26권 2호

초등 저학년의 학생 주도성을 키우는 교사의 역할에 대한 근거이론 활용 연구

A Study on the Use of Grounded Theory on the Role of Teachers in Enhancing Student Agency in the Lower Primary Grades
저자명
최한올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26-02-01)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3.07.31
등록일
2023.08.22
본 연구는 초등 저학년(1-2학년)의 학생 주도성을 키우기 위해서는 이를 촉진하는 교사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관점을 바탕으로 근거이론을 활용하여 학생 주도성을 신장하는 교사의 역할을 도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먼저 저학년의 학생 주도성과 교사 역할의 관련성에 대하여 탐색하였고,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현장 중심의 교사 역할 도출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다음으로 초등 저학년 전문가 9인을 대상으로 2회에 걸친 심층면담을 진행하고 이를 근거이론 접근 방식으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도출하였다. 도출한 결과는 ‘교수역량, 학생이해 및 지도 역량, 교육공동체 형성 및 참여역량, 자기개발 및 관리역량’을 중심으로 개념화하였으며, 기존 교사의 역할을 부연하고 새롭게 도출된 교사의 역할에 대하여 상호 관련지어 제시하였다. 연구결과에서는 본 연구의 제한점과 시사점을 밝혔다.
Based on the view that teachers’ role in promoting student agency in the lower primary grades is important, this study aims to derive teachers’ role in enhancing student agency in the lower grades close to the field.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agency and teacher roles in the lower grades was explored.
Furthermore, the necessity of deriving field-oriented teacher roles was discussed based on prior research. Next, nine experts in the lower grades of primary school participated in in-depth interviews. The results were derived using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The results were conceptualized according to the teacher professionalism cycle’s “professor competency, student understanding and guidance competency, educational community formation and participation competency, self-development and management competency.”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26권 2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