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능력개발연구 26권 2호
직업계고 학생의 취업지원 만족도 유형과 취업성과 간 관계 분석: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중심으로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Support Satisfaction Types and Employment Performance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pplication of Latent Profile Analysis
- 저자명
- 김수진 이보미
- 분류정보
- 직업능력개발연구(26-02-02)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 발행일
- 2023.07.31
- 등록일
- 2023.08.22
이 연구는 직업계고 학생의 취업지원 만족도에 따른 잠재집단을 분류하고, 각 잠재집단 유형이 취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직업능력연구원에서 제공하는 한국교육고용패널Ⅱ의 1-3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직업계고 학생의 취업지원 만족도 유형을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 Analysis)을 통해 도출하였고, 각 유형이 취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통상최소자승 회귀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계고 학생의 취업지원 만족도 유형은 일곱 개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각 잠재집단 유형이 취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고만족형은 취업 여부, 월 임금, 직장만족도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고, 전반적 만족형과 전반적 만족-취업캠프 불만족형은 취업 여부와 월 임금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전반적 만족-취업캠프 만족형은 취업 여부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직업계고의 취업지원에 대한 논의 시 취업지원 프로그램 참여 여부뿐만 아니라 만족도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고, 취업지원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특정 영역이 아닌 전체적 만족도 수준을 높이기 위한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classify latent groups according to the satisfaction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ith employment support and analyze each latent group type’s effect on employment performance. Thus, the types of job satisfaction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ere derived through Latent Profile Analysis using the data from the 1st-3rd year of Korea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II(KEEPII)」 and each type’s effect on job performance was confirmed through ordinary least squares method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satisfaction type was divided into seven groups. Second, the high satisfaction typ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employment status, monthly wage, and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emphasized that when discussing employment support in vocational high schools,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not only to participate in the employment support program but also to increase the overall satisfaction level.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건
KRIVET | 직업능력개발연구 26권 2호 | 바로가기 |
-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7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