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26권 2호

잠재집단분석을 활용한 대학생 직업탐색행동 유형별 특성 분석

Characteristics Analysis of University Students Job Search Behavior Types Using Latent Class Analysis
저자명
이현구 하은호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26-02-05)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3.07.31
등록일
2023.08.22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Ⅱ(KEEP2) 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여 대학생의 직업탐색행동 양상에 따른 잠재집단을 분석하고, 최적화된 집단을 추출한 뒤 이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의 개인요인과 대학요인을 구분해 분석하였다. 잠재집단분석을 활용하여 직업탐색행동 경험여부를 분석한 결과, ‘소극형 행동집단(56%)’, ‘적극형 행동집단(7%)’, ‘교수상담 의존집단(27%)’, ‘교수자중심 행동집단(10%)’의 4개 집단이 가장 최적화된 집단의 개수로 나타났다. 그리고 성별에 따라 직업탐색행동 양상은 다르게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 여성은 남성에 비해 다른 집단과 비교하여 ‘교수상담 의존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다른 변수를 추가하여 다른 행동 양상을 확인하였다. 잠재집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한 결과, 자기이해, 부모관계, 학교만족도, 학교 유형에 따라 집단에 속할 확률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학생 개인의 환경·심리적 변인과 대학교 안에서 무엇을 인식하고 경험하는지에 따라 직업탐색행동의 양상이 달라짐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직업탐색행동을 위한 방안을 논의하고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potential group based on college students’ job search behavior using data from the Korea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Survey II panel after extracting an optimized group and analyzing the individual and university factors of students that affect it. Analyzing the experience of job search behavior using potential group analysis, four groups, including the “passive behavior group (60%),” “active behavior group (6%),” “professor counseling dependent group (19%),” and “professor-centered behavior group (15%)” were the most optimized. The patterns of occupational exploration behavior are presented differently depending on sex. Specifically, it was found that women had a higher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professor counseling-dependent group.” Furthermore, other variables were added to confirm different behavior patterns.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latent group,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group varied depending on self-understanding, parental relationships, school satisfaction, and school type. Finally, measures for college students’ job search behavior were discussed, and follow-up studies were suggested.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26권 2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