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26권 3호

지역별 대졸 청년층의 학력·기술·전공 미스매치와 직장만족도가 노동이동 및 임금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Mismatch in Education, Technology, and Major of Young College Graduates on Labor Mobility and Wages: By Region and Job Satisfaction
저자명
황광훈 김상호 조용운 정효채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26-03-03)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3.11.30
등록일
2023.12.13
본 연구에서는 한국고용정보원의 청년패널조사(YP2007) 1~14차 직업력 자료와 전체자료의 연결자료를 이용하여 지역별 대졸 청년층의 학력·기술·전공 미스매치와 직장만족도가 노동이동 및 임금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졸 이상의 고학력 계층에서도 하향취업에 빠질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고학력 청년층의 전공미스매치 현상이 크게 나타나고 있어 이들 중 상당수가 전공과 관련성이 없는 일자리에 진입할 가능성이 크며, 결국 지속적인 이직 시도 등 노동시장 내에서 잦은 이동 과정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수도권과 비수도권 지역 모두 여성, 임시/일용직, 저임금근로자, 중소기업 취업자 등 노동시장에서 취약한 상태에 놓여있는 청년층들은 여전히 안정적인 일자리 안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고용안정과 임금/소득 요소는 직장이동 가능성에 영향을 주는 매우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academics, skills, and major mismatches and job satisfaction on the labor mobility and wages of college graduates by region were analyzed using the youth panel (1-14th) of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there is a high probability of falling into downward employment, even among highly educated classes with college graduates or higher. Many of them are likely to enter jobs that are unrelated to their major, as there are large major mismatches among highly educated young people, and they are expected to change jobs frequently. It was also confirmed that young people who are vulnerable in the labor market, such as women, temporary/daily workers, low-wage workers, and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 workers in both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areas, still struggle find stable jobs. Additionally, employment stability and wage/income are crucial factors affecting the possibility of workplace movement.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26권 3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