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26권 3호

포지셔닝 분석을 통한 일학습병행자격의 효용성 강화 방안 연구

Strengthening the Effectiveness of Korean Apprenticeship Qualification Through Positioning Analysis
저자명
김민규 송지윤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26-03-07)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3.11.30
등록일
2023.12.13
「산업현장 일학습병행 지원에 관한 법률」이 시행됨에 따라 일학습병행자격은 고용노동부 장관이 발급하는 국가자격의 지위를 갖게 되었다. 그러나 일학습병행자격은 기존 자격의 현장불일치를 개선하는 등 최신 국가자격으로 설계되었지만, 신생 자격으로서 참여자 수, 사회적 인지도 또는 법적 기반의 취약 등 여러 측면에서 한계 역시 상당하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일학습병행자격과 함께 비교대상 자격으로 검정형 국가기술자격,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 국가공인민간자격 및 해외직업자격을 포함한 총 5개의 자격에 대한 포지셔닝맵 기반 다차원척도법(Multi-Dimensional Scaling, MDS)을 사용하였다. 직업자격 간의 경쟁관계 및 유사성을 확인하기 위해 직업훈련기관의 담당자가 재학생을 위한 자격을 선택할 때 고려하는 6개 선택속성 도출하고, 각 자격에 대한 속성 값을 포지셔닝 맵 상에 표시했다. 그리고 신생자격인 일학습병행자격의 효용성 강화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각 자격의 장단점과 비교하여 개선이 필요한 부분을 도출하였다.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Act on Support for Apprenticeship in the Workplace,’ Korean apprenticeship qualification has been recognized as a national qualification issued by the Minister of Employment and Labor. Although the Korean apprenticeship qualification is designed as an advanced and modernized qualification, many aspects have considerable limitations, such as the number of participants, social awareness, and vulnerability of individual legal bases. In this study, the idea of a positioning strategy was introduced as an integrated analysis of five vocational qualifications: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test evaluation/process evaluation), nationally authorized private qualifications, registered private qualifications, and overseas vocational qualifications. Multidimensional Scaling (MDS) was used to implement this visually. 
As a result, six optional attributes were derived from prior studies on vocational training policy selection. From this, competitive relationships and similarities are drawn, and practical ways to strengthen the effectiveness of the Korean apprentice system are presented.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26권 3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