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26권 3호

사업주 직업능력개발사업 참여 기업 및 개인의 특성과 성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of Companies and Individuals Participating in Employer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Projects
저자명
박민주 정혜경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26-03-08)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3.11.30
등록일
2023.12.13
산업 환경 변화 및 인구감소에 따라 우수한 인적자원을 양성하는 것이 기업 생존의 필수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우수 인적자원 양성을 위한 교육훈련은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지속적 투자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기업이 부담을 가지게 되는데, 이를 지원하는 국가차원 정책의 하나로 사업주 직업능력개발사업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교육훈련 투자와 사업주 직업능력개발사업 참여를 연계하여, 교육훈련 투자와 사업주 직업능력개발사업 참여 정도에 따른 집단별 특성을 분석하였다. 더불어 집단별 특성에 나타난 주요 변인들을 활용하여 기업수준 성과(인적자원개발 활동의 효과-직원의 직무능력, 노동 생산성, 회사의 이미지, 직원의 의욕, 직원의 이직방지)와 개인수준의 성과(직무만족,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 회귀분석과 위계적 선형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의 주요결과에 따르면, 기업수준 성과 중 사업주 직업능력개발사업 참여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종속변인은 직원의 직무능력과 노동생산성, 직원의 이직방지였으며, 개인수준의 성과는 조직몰입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교육훈련과 사업주 직업능력개발사업에 대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As the industrial environment changes and population decreases, cultivating excellent human resources is an essential factor for the survival of companies. In this study, we linked a company's investment in education and training and participation in the employer's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project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according to the investment and the employer's participation in the project. Additionally, by utilizing the key variables shown i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company-level performance (effect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activities: employee job ability, labor productivity, company image, employee motivation, and employee turnover prevention) and individual-level performance (impact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examin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linear models, respectively. The primary findings indicate that the the employer's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project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on employee job skills, labor productivity, and the prevention of employee turnover at the company level. Additionally, it positively influenced organizational commitment at the individual level.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26권 3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