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26권 3호

여성의 연령별 공공고용서비스 이용과 주관적 취업 효과

Women
저자명
문지선 전선영 홍미나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26-03-09)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3.11.30
등록일
2023.12.13
이 연구는 2019년 서울시여성인력개발기관의 직업훈련에 참여한 후 2020년 취업상태인 여성을 대상으로, 공공고용서비스 이용 경험이 ‘직업훈련 서비스의 취업 도움 정도’라는 주관적 취업 인식에 미친 영향을 연령별로 비교했다. 직업훈련을 받은 여성들은 취업지원 서비스를 40대, 50대, 60대 순으로 많이 이용했지만, 20~30대의 이용률은 저조했다. 30대와 40대, 60대는 직업훈련과 취업지원 서비스를 같이 이용했을 때 직업훈련의 취업 도움을 더 긍정적으로 인식했다. 30~40대 여성은 경력단절 가능성이 높다고 해서 저학력자 등 노동시장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주관적 취업 효과가 더 큰 것은 아니었고, 50~60대는 경제적 동기가 강하다고 해서 실제 취업자가 모든 직업훈련 서비스를 취업에 도움이 됐다고 평가하는 것도 아니었다. 이 글은 이용자 관점에서 주관적 취업 효과를 분석한 차별성이 있으며, 추후 여성 연령별 ‘수요자 맞춤형 공공고용서비스’를 설계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compared the impact of public employment services among women who participated in vocational training at the Seoul Women's Resources Development Center in 2019 and were employed the following year. Women in their 40s, 50s, and 60s used job placement services the most while its utilization rate was lower among women in their 20s and 30s. Women in their 30s, 40s, and 60s show a positive subjective employment effect when using vocational training and job placement services. For women in their 30s and 40s, despite higher likelihood of career interruption, the subjective employment effect was not significantly greater for vulnerable workers. For those in their 50s and 60s, despite their stronger economic motives, not all vocational training services were evaluated as helpful. This study is unique in analyzing the subjective employment effect from the user's perspective and can contribute to the design of employment services customized by women's age.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26권 3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