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27권 1호

고등학생의 대학 진학 결정과 전공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학생 배경 및 부모 배경 변수를 중심으로

The Determinants of Students’ Admission to Higher Education and Major Choice: Focusing on Student and Parental Background Factors
저자명
황영식 주영효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27-01-02)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4.03.31
등록일
2024.04.17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KEEP) 데이터를 활용하여 학생 배경 및 부모 배경 변수가 대학 진학 결정 및 전공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KEEPⅡ 6차년도 데이터를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학생이 고등학교 졸업에 머무르지 않고, 전문대 이상의 진학을 시도할 확률이 더 높았으며 부모의 임금 및 금융소득 증가는 대학교까지 진학할 확률을 더 높이고 있었고, 학생의 고등학교 계열에 따라 대학 진학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부모와 학교/학과에 관한 대화를 자주 할수록 대학에 진학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흥미/적성에 관한 대화가 많을수록 기타 계열의 전공을 선택할 확률이 높았다. 셋째, 고등학교 수학 성적이 높을수록 대학 진학의 가능성이 높아지는 가운데, 자연/공학 계열 전공의 선택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었다. 본 연구는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의 진로 선택과 관련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the effects of student background and parental variables on choices of college and major using Korea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Survey dat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ale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try to attend college. Higher wages and parental incomes make university attendance more probable. Additionally, the probability of attending higher education depends on the type of high school the students attended. Second, the more parent?student conversations about schools/departments, the greater the possibility of attending a higher-education institution, and the more conversations about interests/aptitudes, the greater the probability of choosing a major in fields other than humanities/social sciences or natural science/engineering. Third, the higher the high-school math score, the greater the likelihood of admission to higher education. Higher math grades also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choice of natural science/engineering majors. The implications of the above for students’ career choices were discussed.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27권 1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