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27권 1호

랜덤포레스트를 활용한 특성화고 학생의 졸업 후 진로결정 예측요인 탐색

Exploring Predictive Factors for a Vocational High-School Student’s Career Decision Using Random Forests
저자명
김하정 원효헌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27-01-03)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4.03.31
등록일
2024.04.17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 Ⅱ(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KEEP Ⅱ)의 1차, 2차, 3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졸업 후 진로 결정에 미치는 주요한 영향요인이 무엇인지를 탐색하고, 학생들의 진로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 마련 및 현장에서의 교육적 활용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특성화고 학생들의 졸업 후 진로결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고등학교 3학년 시기의 희망 교육수준’이 가장 높은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특성화고 선택 이유’, ‘고등학교 2학년 시기의 희망교육수준’, ‘3학년 1학기 수학 내신 등급’, ‘3학년 때 경험한 취업상담’의 순으로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요도 지수 상위 30개 변수에 학업 및 성적 관련 변수가 총 10개로 학생들의 졸업 후 진로결정을 예측하는 중요한 변수로 고려되었으며, 성별, 키, 지역 규모, 여가시간, 행복도 등 개인특성 관련 변수(7개)와 교육포부와 삶의 관점 등 진로에 대한 인식 관련 변수(5개) 및 가정 특성 변수(4개)와 학교특성 변수(4개)도 주요한 예측 변수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특성화고 졸업생들의 진로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육적 방안 마련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major variables that affect students’ career decisions after graduation from vocational high schools, using data from the first, second, and third years of the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II and random forest analysis. 
“Desired education level” in third-year high school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llowed by “reason for choosing a vocational high school,”  “desired education level” in second-year high school, “math grade” in first-semester third year, and “career counseling” in third year. Academic- and grades-related variables, including 10 of the top-30 variables in the importance index, significantly predicted students’ post-graduate career decisions.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height, region size, leisure time, and happiness (seven variables); career perceptions such as educational aspirations and perspectives on life (five); family characteristics (four); and school characteristics (four) were also major predictive factors. Educational implications of plans to help vocational high-school graduates in their career decisions were discussed.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27권 1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