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27권 1호

고졸 취업자의 지역 이동 특성과 영향 요인 분석: 직업계고 졸업자를 중심으로

Analysis of Job Migration Characteristics and Influencing Factors of Employed High-School Graduates: Focus on Vocational High-School Graduates
저자명
최지연 류지은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27-01-04)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4.03.31
등록일
2024.04.17
이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 Ⅱ(KEEP Ⅱ)의 직업계고 2학년 코호트 데이터를 활용하여 고졸 취업자의 노동시장 진입 및 노동시장 내에서의 지역 이동 특성을 살펴보고, 랜덤 포레스트를 적용하여 이들의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자 했다. 연구 결과, 고졸 취업자의 지역 이동은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의 방향성을 가지며, 특히 노동시장 진입 과정에서 많은 이동이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지역 이동은 더 나은 일자리의 취득을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랜덤 포레스트 분석 결과 이전 지역 대비 현재 지역의 기대소득, 사업체 수, 문화기반시설 수가 가장 주요한 요인으로 나타나 지역의 경제적, 문화적 특성이 중요한 영향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시사점을 제공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job migration characteristics of employed high-school graduates using second-year vocational high-school cohort data from the Korea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II (KEEP II). Additionally, it sought to explore factors influencing job migration using random forests. We identified the direction of the job migration of employed high-school graduates as being from non-capital areas to the capital area. Furthermore, we determined that migration was especially common when entering the labor market. These migrants tended to obtain better jobs. Additionally, through random forest analysis, the expected income, number of businesses, and extent of cultural infrastructure in the current region compared to the previous region were found to be essential factors, confirming the importance of the economic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This study presented recommendations for follow-up research and practical suggestions based on these results.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27권 1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