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27권 1호

고졸 근로자의 삶의 만족도, 괜찮은 일자리, 진로성숙도, 사회적 자아개념, 교사열의의 관계 : 일의 심리학 이론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Decent Work, Career Maturity, Social Self-Concept, and Teacher Engagement of High-School Graduate Workers: Focus on the Psychology of Working Theory
저자명
박자경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27-01-05)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4.03.31
등록일
2024.04.17
이 연구는 고졸 근로자의 삶의 만족도, 괜찮은 일자리, 진로성숙도, 사회적 자아개념, 교사열의의 경로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종단연구 2013 패널 조사 자료에서 8차, 9차년도의 356명 고졸 취업자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기술통계 분석과 경로분석을 STATA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졸 근로자의 삶의 만족도는 괜찮은 일자리, 진로성숙도, 사회적 자아개념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괜찮은 일자리 수준에는 진로성숙도, 사회적 자아개념, 교사열의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사회적 자아개념과 교사열의는 진로성숙도에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론을 바탕으로 일의 심리학 이론에 대한 경험적 연구 및 괜찮은 일자리 지수에 대한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life satisfaction, decent work, career maturity, social self-concept, and teacher engagement in high-school graduate workers. For this purpose, data on 356 employed high-school graduates from the eighth and ninth years of the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2013 panel survey were used and analyzed. Th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path analysis with STATA 17.0. Key findings include that life satisfaction among high-school graduate workers statically influenced social self-concept, career maturity, and decent work. Decent work levels showed static influences on career maturity, social self-concept, and teacher engagement, with social self-concept and teacher engagement significantly affecting career maturity. On the basis of these conclusions, empirical studies on the psychology of working theory and subsequent research on the index of decent work are recommended.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27권 1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