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27권 1호

사회자본 관점에서 본 경력단절여성의 조직화에 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Organization of Women with Career Discontinuity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Capital
저자명
안재희 한준혜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27-01-08)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4.03.31
등록일
2024.04.17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자본 관점에서 서울에 소재하고 있는 K여성새로일하기센터의 커리어컨설턴트 양성과정을 이수한 경력단절여성들이 일자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스로 결성한 W조합의 성장 과정과 그 과정에서 나타난 새일센터와의 관계 변화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조직에 대한 구성원들의 기대가 변화되면서 조직은 학습동아리에서 임의단체, 협동조합으로 전환했다. 그 과정에서 구성원들의 이기적 행동과 조직에 대한 낮은 참여 그리고 수익구조의 한계는 조직이 해결해야 할 과제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W조합은 개인이 아닌 조직에 대한 신뢰를 강화했고 이기적 행동을 제재하고 참여를 촉진하는 보상과 관련된 규범을 만들어 나갔다. 또한 대내외적 네트워크의 확대와 연결형 사회자본으로의 전환을 통해 정보획득 역량을 향상시키고 사업영역을 확장해 나갔다. 이 과정에서 W조합은 새일센터와 상호 간의 집단적 신뢰 관계를 구축하면서 새일센터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일방적 수혜자에서 여성의 일자리를 만들어 가는 경제적 주체, 동반자로 성장하였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the growth process of an organization formed by women who have experienced career discontinuity and its changing relationship with the women’s reemployment support center from a social capital perspectiv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s the expectations of the organization and the meaning of learning changed, the organization evolved from a study club to an unincorporated organization and cooperative. The selfish behavior, low participation, and limitations of the profit structure posed challenges to the organization. To solve these problems, members’ trust in the organization based on reciprocity was strengthened, and norms were created to sanction selfish behavior and promote participation. Additionally, network expansion led to expanded business areas. In the process, the organization has grown from a beneficiary of the service provided by the center to a subject of change.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27권 1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