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28권 1호

청소년기부터 초기 성인기까지 행복감 변화 유형과 영향 요인 검증: 잠재계층성장분석(LCGA)

Validating Types and Influences of Well-Being Changes From Adolescence to Early Adulthood: A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LCGA)
저자명
이영주 김시형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28-01-02)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5.03.31
등록일
2025.04.15
주제어
행복감, 학업, 한국교육고용패널, 잠재계층성장분석, happiness, academic,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본 연구는 청소년기와 초기 성인기(만 17세~24세)의 주관적 행복감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고 잠재집단 유형을 식별한 후, 이들 집단과 영향 요인 간의 관계를 탐색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고용패널(KEEP)의 제17차(2016~2022년) 데이터 중 결측치가 없는 6,176명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시간에 따른 변화 패턴을 기반으로 집단을 식별하는 연구가 부족했던 기존 선행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잠재집단 성장모형(LCGA)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주관적 행복감 변화는 세 개의 잠재집단으로 유형화되었다. 행복감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증가집단(6.1%)’,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감소집단(5.0%)’, 지속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높음유지집단(89.9%)’으로 확인되었다. 이후에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별과 학교 유형은 행복감 변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직업 결정 여부와 친구 관계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또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특성화고 학생이 일반고 학생보다 행복감이 감소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학교생활 성실도와 친구 관계는 행복감 유지를 촉진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청소년기와 초기 성인기의 주관적 행복감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며, 개인별로 상이한 발달 양상을 보일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행복감 증진을 위한 맞춤형 지원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changes in subjective well-being from adolescence to early adulthood (ages 17–24) by identifying latent group types and their influencing factors. Using data from 6,176 individuals from the 17th wave (2016–2022) of the Korea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KEEP),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LCGA) was conducted to categorize well-being trajectories. Three latent clusters emerged: the Increase group (6.1%) showed gradual improvement, the Decrease group (5.0%) experienced decline, and the Maintain group (89.9%) sustained high well-being.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revealed that gender and school type significantly influenced well-being changes, with male an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more likely to experience declines. Conversely, strong academic performance and friendships supported well-being maintenance.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diverse developmental patterns of subjective well-being and emphasizes the need for tailored support strategies.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28권 1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