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학술지

직업능력개발연구 28권 1호

청년 세대의 자기 인식 변화 궤적 분석

Analysis of Self-Awareness Change Trajectories Among Young Adults
저자명
김남희 임해경
분류정보
직업능력개발연구(08-01-06)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5.03.31
등록일
2025.04.15
주제어
청년, 자기 인식, 발달 궤적, 잠재성장모형, 성장혼합모형, early adulthood, self-awareness, trajectory, latent growth modeling, growth mixture modeling
본 연구는 20대 초반의 초기 성인기에 도래한 청년 세대의 자기 인식이 어떻게 성장하고 있는가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Ⅱ의 3차 연도(만 19세)부터 7차 연도(만 23세)까지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4,726명의 응답자 데이터를 분석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5개년 간 청년 세대의 자기 인식 변화 궤적은 선형적 형태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증가의 기울기는 매우 미약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둘째, 자기 인식 변화 궤적의 잠재 집단을 확인한 결과 총 4개 집단으로 구분되었으며 각 집단은 낮은 초기치-지속 성장 집단, 낮은 초기치-지속 정체 집단, 높은 초기치 지속 감소 집단, 중간 초기치-지속 정체 집단이었다. 분석 대상자의 92.9%가 ‘중간 초기치-지속 정체 집단에 소속되어 있어 다수의 청년이 자기 인식에 대해 큰 변화 없이 정체된 상태를 경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잠재 집단 구분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 변수를 탐색한 결과 일부 집단 구분에서 고교 유형, 대학 진학 유무 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주요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trajectory of self-awareness among young adults. Data from 4,726 respondents were collected from the third year (age 19) to the seventh year (age 23) of the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Survey II.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trajectory of self-awareness over the five-year period exhibited a linear increase, although with a very slight slope. Second, growth mixture modeling of the self-awareness trajectories identified four distinct groups: low intercept-growth, low intercept-stagnation, high intercept- decline, and medium intercept-stagnation. Notably, 92.9% of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 the medium intercept-stagnation group. Third, we examined the independent variables influencing group membership and found that high school type and college attendance had significant effect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are discussed.
관련 참조 정보전체 1
KRIVET 직업능력개발연구 28권 1호 바로가기
학술지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786

사이트맵